에너지

thumbimg

열전소재 벌집 형태로 제작, 경량화와 내구성과 전기 변환 효율 높인 열전발전기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6.15
벌집 구조의 구리-셀레나이드 열전발전 부품/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과 손재성·채한기 교수팀과 애리조나주립대 권범진 교수 등 공동연구팀이 열전소재인 구리-셀레나이드를 3D프린팅을 이용해 벌집 형태로 제작해, ...

thumbimg

한국원자력연구원 자체 기술로 제작된 ‘이동탐사형 방사능 다목적측정 장비’ 태국에 수출
안조영 기자 2021.06.09
드론에 장착된 방사능 측정 장비/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한국원자력연구원이 자체 개발해 2020년 원자력기술 산업체 에스아이디텍션으로 기술 이전한 ‘이동탐사형 방사능 다목적측정 장비’가 태국 원자력청에 수출된다.에스아이디텍션은 우주항공전문 ...

thumbimg

2023년 4월 폐쇄 예정 고리 원전 2호기 수명 늘리면 10년간 3486만t 온실가스 감축 주장 제기
정두수 기자 2021.06.07
고리 원전 1·2호기2023년 4월 8일 폐쇄될 예정인 고리 원전 2호기의 수명을 늘리면 10년간 3486만t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주장대로라면 3㎿짜리 풍력발전(이용률 25% 가정) 640기를 새로 짓는 수 ...

thumbimg

고체전해질 내 수소 이온 이동 원리 구체적으로 밝혔다
안조영 기자 2021.06.07
열처리 조건에 따른 배위수 변화와 수소 이온전도도 향상 원리/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나명수 교수·백승빈 연구교수·김영삼 교수 공동연구팀이 금속과 유기물이 혼합된 금속-유기 골격체(MOF)로 이뤄진 양성자 교환 ...

thumbimg

P4G 정상회의, 탈 석탄 에너지 전환 가속화 등 기후 위기 극복 위해 국제 협력 강조
이재철 기자 2021.06.01
화상으로 열린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국내에서 최초로 열린 기후 환경 분야 다자 정상회의인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가 지난달 31일 폐막됐다.포용적 녹색회복을 통한 탄소중립 비전 실현을 주제로 열린 이번 회 ...

thumbimg

정부, 올해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업과 산업기업 대상으로 3500억 원 융자보증
이재철 기자 2021.05.25
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업과 산업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녹색보증사업을 통해 3500억 원을 융자보증 한다.이달 31일부터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에서 신청 접수를 시작한다.정부는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보증기금에 연간 ...

thumbimg

신재생에너지 전시회 ‘SWEET 2021’이 7월 8일부터 10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개최
안조영 기자 2021.05.25
신재생에너지 전시회인 ‘SWEET 2021’이오는 7월 8일부터 10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가 공동주최하는이번 전시회는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과 세계의 재생 에너지 전환 기조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산 ...

thumbimg

원자력안전위원회, 영광 한빛원자력발전소 6호기 재가동 승인
안조영 기자 2021.05.22
한빛원전 전경원자력안전위원회가 전남 영광군 한빛원자력발전소 6호기의 재가동을 지난 20일 승인했다.원안위는 재가동에 앞서 수행해야 할 87개 항목의 검사를 시행한 결과 원자로 재가동이 안전하게 이뤄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원 ...

thumbimg

한울 제1발전소 아시아 원전업체 처음으로 미국 원자력협회(NEI)의 ‘최고혁신실행상’ 수상
안조영 기자 2021.05.22
한울원전 전경한울 제1발전소가 원전 운영의 기술력과 안전성을 인정받아 아시아 원전업체 처음으로 미국 원자력협회(NEI)로부터 ‘최고혁신실행상’을 받는다.한울 제1발전소가 ‘원자로헤드 열충격 완충관’ 교체 프로젝트를 안전하면서도 혁신적 ...

thumbimg

시금치 추출물 이용한 식물 광합성 전지 개발해 전기 생산 성공
이재철 기자 2021.05.22
직렬 연결된 광합성 전지의 개략도/홍현욱 박사후연구원 제공연세대 류원형·황성주 교수와 홍현욱 박사후 연구원, 호주 뉴캐슬대 이장미 박사후 연구원이 시금치 추출물을 이용한 식물 광합성 전지를 개발했다.광합성 전지는 빛과 물만 있으면 광 ...

thumbimg

풍력발전 보급촉진 특별법안 놓고 한국풍력산업협회 환영, 수산업계는 강력 반발
정두수 기자 2021.05.21
국회가 발의한 풍력발전 보급촉진 특별법안(이하 풍력발전 인허가 원스톱숍 법안)과 관련해 한국풍력산업협회는 적극 환영의 입장을 보였지만 수산업계는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풍력발전 인허가 원스톱숍 법안’ 은 정부가 주도 ...

thumbimg

저렴한 비귀금속 사용하는 음이온교환막수전해 기술 상용 수준으로 끌어올리는데 성공
이재철 기자 2021.05.19
산화도가 제어된 촉매를 적용한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 스택 성능 평가 개요도/한국재료연구원 제공한국재료연구원(KIMS) 에너지전자재료연구실 최승목 박사 연구팀이 값비싼 귀금속을 사용하지 않고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음이온교환막수전해 기술을 ...

thumbimg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태양전지 관련 측정 표준 KOLAS 공인시험기관 자격 획득
차성호 기자 2021.05.17
스펙트럼 응답 측정장치/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국내에서도 국제 수준에 부합하는 태양전지 소자 전류-전압(IV) 특성곡선 측정 표준(효율 측정)과 태양전지 스펙트럼 응답도 측정 표준에 대해 한국인정기구(KOLAS) ...

thumbimg

우리나라 에너지전환지수 115개 국가 가운데 49위, 선진국에서는 최하위권
안조영 기자 2021.05.17
우리나라의 에너지전환지수 순위가 115개 국가 가운데 49위인 것으로 조사됐다.세계경제포럼(WEF)은 ‘에너지 전환 지수(ETI) 2021’ 보고서를 16일 발표했다.한국은 전체 분석대상 115개국 가운데 에너지전환지수 순위가 49위 ...

thumbimg

코발트 등 고가의 배터리 양극소재, 값싼 무질서 암염소재로 대체 길 열려
이재철 기자 2021.05.10
무질서 암염 양극재의 구조와 양극재 입자의 현미경 사진/UNIST 제공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서동화 교수, 캐나다 맥길(McGill) 대학교 재료공학부 이진혁 교수, 미국 MIT 쥐 리(Ju Li) 교수가 공동 참여한 연구팀이 고 ...

thumbimg

한국에너지공단, ‘전력사용량 예측 AI 경진대회’ 온라인 개최
차성호 기자 2021.05.07
한국에너지공단이 10일부터 6월 25일까지 인공지능(AI) 경진대회 플랫폼 기업인 데이콘과 함께 ‘전력사용량 예측 AI 경진대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총 1800만원을 시상하는 이번 대회는 전력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 ...

thumbimg

액상 암모니아(NH₃) 전기 분해 순도 90% 넘는 그린수소(H2) 생산 성공
차성호 기자 2021.05.06
그린수소 생산 전극(니켈기반)에 촉매를 입히는 기술을 나타낸 연구그림/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김건태 교수 연구팀이 액상 암모니아(NH₃)를 전기로 분해해 순도 90%가 넘는 그린수소(H2)를 생산하는 ...

thumbimg

한국서부발전, 석유 코크스 활용한 블루수소 생산기술 개발 나선다
안조영 기자 2021.05.06
한국서부발전이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고등기술연구원 등과 함께 수소에너지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2025년까지 ‘석유코크스 활용 수소생산 실용화 기술’을 개발키로 했다.석유 코크스를 활용한 블루수소 생산기술 개발이다.블루수소는 그레이수 ...

thumbimg

‘하늘을 나는 발전소’ 공중 풍력발전 국산화 개발 본격화
안조영 기자 2021.05.06
‘하늘을 나는 발전소’로 불리는 ‘공중 풍력발전’의 국산화 개발이 본격화 된다.한국전기연구원(KERI)과 한전, 창원시는 지난 4일 공중 풍력발전 연구개발 성과발표회를 열고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3개 기관은 우선 지상발전 방식의 공중 ...

thumbimg

안전한 이차전지 기술 개발, 리튬이온 전지 화재 원인 덴드라이트 형성 원천 차단
이승범 기자 2021.04.27
오믹(Ohmic) 접촉을 하는 n형 반도체와 리튬금속 사이를 전자는 통과하면서 반도체 층 내부에 리튬금속이 형성된다. 또 전해질 성분과 반응해 두꺼운 SEI 층이 형성된다(왼쪽). 쇼트키(Schottky) 접촉을 하는 p형 반도체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