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thumbimg

수 백회 충·방전에도 초기 용량 80% 이상 유지하는 배터리 전해액 첨가제 개발
차성호 기자 2021.02.15
첨가제별 배터리 충방전시 용량 변화 비교/UNIST 제공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최남순·곽상규 교수와 화학과 홍성유 교수팀이 대용량 리튬이온배터리 개발의 난제로 꼽혀 온 전극 소재의 불안정성을 해결할 수 있는 배터리 전해액 첨가제를 ...

thumbimg

전기 생산과 시각적인 투광성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고효율 CIGS 양면 투광 태양전지 개발
차성호 기자 2021.02.05
CIGS 투광 태양전지 사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전기 생산과 함께 태양빛의 일부를 투과시켜 시각적인 투광성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고효율 CIGS(구리, 인듐, 갈륨, 셀레늄) 양면 투광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

thumbimg

남동발전, 플라스틱 제품에 석탄재 재생원료 20~30% 대체하는 기술 상용화 추진
안조영 기자 2021.02.05
한국남동발전이 플라스틱 제품에 석탄재 재생원료를 사용하는 기술의 상용화를 추진한다.PE(폴리에틸렌),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배관, 생활용품 등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에 석탄재 재생원료(충진재)를 20~30% 대체하는 기술을 상용 ...

thumbimg

마찰전기로 세계 최고 수준 5000V 이상 고전압 구현, 플라즈마도 생성해 내는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2.03
크룩스관의 형광체가 발광하고 진공상태에서 플라즈마가 생성되고 있는 모습/생산기술연구원 제공한국생산기술연구원 조한철 박사, 한국기술교육대 박진형 교수, 성균관대 김상우 교수 연구팀이 마찰대전 나노발전기의 전극 구조를 마이크로 톱니 형태 ...

thumbimg

전기차 대중화 기여할 급속충전 시 배터리 성능과 안전 보장하는 기술 개발
차성호 기자 2021.02.03
연구팀이 개발한 흑연 음극에 촉매 소재 적용 사진(우)./한국전기연구원 제공한국전기연구원 이상민 차세대전지연구센터장과 박민식 경희대 교수, 이종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 연구팀이 ‘음극용 촉매 소재 및 코팅 기술’을 개발 ...

thumbimg

세계 최초 저항·전압 표준 장치와 비교 검증 성공, 1nA 이하 미세전류 측정 표준 장치 개발
안조영 기자 2021.01.30
양자측정표준 삼각체계 실현 모식도/제공 KRISS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이 1nA(나노암페어·10억 분의 1암페어) 이하 미세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표준 장치를 개발했다.세계 최초로 저항·전압 표준 장치와 비교 검증하는데 성공한 ...

thumbimg

촉매기술의 난제 '메탄 직접전환공정' 효율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촉매기술 개발
차성호 기자 2021.01.29
연구팀이 개발한 메탄 직접전환 공정을 통해 효율을 높이는 촉매./에너지기술연 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희연 박사 연구팀이 지난 30년 간 촉매기술의 난제로 여겨졌던 '메탄 직접전환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촉매기술을 개발했 ...

thumbimg

한수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솔란드 협력 국내 최초 CIGS 박막 태양광 모듈 개발
안조영 기자 2021.01.25
CIGS 박막 태양광 모듈/제공 한수원한국수력원자력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솔란드와 함께 국내 최초로 CIGS 박막 태양광 모듈 개발을 완료하고 KS 인증을 획득했다.CIGS는 구리·인듐·갈륨·셀레늄으로 구성된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 ...

thumbimg

재생에너지, RE100 이행방안, 태양광발전 등 주제로 2021년 에너지세미나 개최
이재철 기자 2021.01.21
세미나허브가 오는 2월 2일부터 4일까지 3일간에 걸쳐 온라인으로 2021년 에너지세미나를 개최한다.주제는 “탄소중립실현을 위한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전략 및 달성방안”, “재생에너지의 기회, RE100 이행방안 및 대응 전략”, “ ...

thumbimg

작은 빛 에너지로 빛의 연쇄증폭반응 일으켜 더 큰 빛 에너지 방출하는 '광사태 현상' 발견
차성호 기자 2021.01.20
광사태 나노입자 기반 단일광선(Single-beam) 초고해상도 이미징/한국화학연구원 제공한국화학연구원(이하 화학연) 서영덕·남상환 박사 연구팀이 미국·폴란드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툴륨(Tm)’이라는 원소를 특정한 원자격자 구 ...

thumbimg

분리막 필요 없는 '멤브레인 프리(membrane-free) 수계 금속-이산화탄소 배터리' 개발
안조영 기자 2021.01.20
다양한 금속-이산화탄소 배터리 시스템 모식도: 기존 선행 금속-이산화탄소 배터리 시스템(Organic Metal-CO2 battery)으로부터 현재까지 배터리 시스템의 발전 방향 가장 오른쪽이 이번에 개발한 멤브레인 (‘Membran ...
한국원자력연구원, 니켈 도금법 이용한 원자로 용기 보호층 손상 보수기술 표준절차와 설비 개발
안조영 기자 2021.01.18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니켈 도금법을 이용한 원자로 용기 보호층 손상 보수기술의 표준절차와 관련 설비인 '원전 손상부 도금보수 표준 절차서'를 개발했다.원전의 손상부는 수많은 검증실험을 거친 표준절차서에 의해서만 보수할 수 있다.연구팀은 새로운 보수기술이 미국 규제기관(USNRC) 기술검토 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미국 전력연구 ...

thumbimg

KAIST 연구팀, 핫전자와 금속 나노선-산화물 계면 이용 온실가스 생성을 줄인다
차성호 기자 2021.01.12
백금 나노선을 타이타니아에 증착시켜 제작한 핫전자 촉매소자와 이를 이용한 온실가스 저감원리의 모식도/KAIST 제공KAIST 화학과 박정영, 신소재공학과 정연식, 생명화학공학과 정유성 교수 공동연구팀이 촉매의 선택도를 핫전자와 금속- ...

thumbimg

한국생산기술연구원, ESS 화재 예방 위해 미세한 전자 불꽃 감지하는 시스템 개발 성공
이재철 기자 2021.01.06
피라미드 엠보싱 구조의 배터리 트레이(오른쪽)/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최근 잇단 화재로 안전성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예방을 위해 미세한 전자 불꽃(아크)을 감지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에너 ...

thumbimg

기업, 재생에너지 사용해 만든 전기 한전 없이 따로 구매 가능
안조영 기자 2021.01.06
한국형 RE100 라벨링/제공 산업통상자원부산업통상자원부가 K-RE100의 본격 실행을 위해 법령 정비, 시스템 구축 등에 나섰다.주요 내용은 기업들이 재생에너지를 사용해 만든 전기를 따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산업용 전기보다 ...

thumbimg

수원 당수2지구 에너지와 생태환경 융합된 ‘제로에너지 특화도시’ 조성
이재철 기자 2021.01.04
제로에너지건축물 개념도/국토교통부 제공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경기도 수원 당수2지구에 에너지와 생태환경이 융합된‘제로에너지 특화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제로에너지 특화도시는 제로에너지 건축물을 도시 단위로 확대 적용하 ...

thumbimg

한국원자력연구원, 작업 효율 10배 증가 해체공정 통합평가 시스템 두산중공업 이전
안조영 기자 2020.12.31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기존 기술 대비 작업 효율을 10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해체공정 통합평가 시스템을 두산중공업㈜에 이전키로 했다.기술실시계약으로 체결된 이번 기술은 해체공정의 특성상 시뮬레이션 적용이 어려웠던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 ...

thumbimg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현재 5.6%에서 2034년까지 25.8%로 확대
안조영 기자 2020.12.29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현재 5.6%에서 오는 2034년까지 25.8%로 확대된다. 정부가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을 심의·확정 했다. 기본 계획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가 효과적으로 ...

thumbimg

한국전력공사, 자체개발 기술 에너지 분야 벤처기업 이전하기 위한 연구소기업 5곳 설립
안조영 기자 2020.12.23
한국전력공사가 자체개발한 기술을 에너지 분야 벤처기업에 기술이전하기 위해 연구소기업 5곳을 설립하기로 했다.연구소기업은 정부출연 연구기관, 대학 등 공공연구기관이 개발한 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해 설립 자본금 가운데 20% 이상을 직접 ...

thumbimg

백종범 UNIST 교수 연구팀, 쇠구슬 부딪히는 힘으로 화학적 반응 일으켜 암모니아 합성 성공
안조영 기자 2020.12.16
볼 밀링법을 통한 암모니아 생성 과정 모식도백종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연구팀이 작은 쇠구슬들이 부딪히는 물리적인 힘으로 기계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볼 밀링법으로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복잡한 설비 없이 필요한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