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8㎿ 부유식 해상풍력시스템 개발 공모사업에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 등 11개 기관이 참여한 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오는 2025년 4월까지 정부출연금 270억을 투입해 국내 최초로 ㎿급 부유식 해상풍력 터빈의 개발과 제작에 이어, 국내 해역에서 실증 운용과 성능 검증 및 사업화하는 것이다.
지난해 5월 전국 4개 시도의 컨소시엄이 1단계 사업에 선정된 후 올해 2월 1단계 사업결과와 2단계 사업계획을 평가해 최종 1개 컨소시엄으로 결정됐다.
KRISO는 부유식 해상풍력 시스템의 실증을 위해 실해역 시험 인프라 및 실증 운용 지원 등을 수행하게 된다.
해양수산부의 지원으로 KRISO가 이미 구축한 제주 용수리의 파력발전 실해역 시험장에 설치되어 실증 운용될 예정이다.
실증시설로 활용될 파력발전 실해역 시험장은 아시아 최초이자 세계 7번째의 해양에너지 발전시스템 계통연계 시설이다.
파력발전의 실험 비용·기간 절감은 물론 해양장비, 수중데이터센터의 실증 장소로도 활용 가능하다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KRISO는 주요 연구시설인 ‘심해공학수조’를 활용해 실증용 부유체의 축소모형시험과 성능평가도 수행할 예정이다.
부유식 풍력 하부구조물의 설계 및 해석에 참여해 국내 기업들의 부유식 해상풍력 상용화를 위해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컨소시엄 주관기관인 두산중공업은 8MW 해상풍력 터빈 개발 및 제작을 맡는다.
기타 지자체 및 기업들도 과제완수를 위해 부유체 제작과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개발 등에 나설 예정이다.
김부기 KRISO 소장은 “탄소중립 및 그린뉴딜 정책으로 인해 신재생에너지의 연구개발이 가속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외해에서의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은 거스를 수 없는 추세”라며 “부유식 해상풍력시스템의 개발과 함께 파력발전 및 기타 신재생에너지원을 활용한 연구개발에 앞장 서 해양 기반의 탄소중립사회 실현에 기여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