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thumbimg

해초인 바다아스파라가스 사료로 사용, 온실가스 주범인 소 메탄가스 배출량 82% 줄여
이재철 기자 2021.03.22
해초를 섞은 사료를 먹인 결과 소의 메탄가스 배출량이 82% 가량 줄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가축 트림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 세계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가스 중 5%를 차지한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 데이비스 엘미아스 키브 ...

thumbimg

온실가스 그대로 배출되면 국내 생물종 336종 멸종되고 내륙습지 26% 소멸
정두수 기자 2021.03.16
기후변화로 인한 내륙습지 소멸 예측결과/국립생태원 제공온실가스가 현 상태로 배출될 경우 멸종될 수 있는 국내 생물 종이 6%인 336종에 달하며, 내륙습지의 26%인 657개가 소멸 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국립생태원은 지난 ...

thumbimg

산림청,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 상승 고려, 4월 5일 식목일 3월로 앞당기는 방안 검토
정두수 기자 2021.03.06
나무심기 추진계획/산림청 제공산림청이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 상승을 고려해 4월 5일 식목일을 3월로 앞당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흡수를 위해 서울 남산 면적의 70배에 달하는 2만여㏊에 나무 4,800만 ...

thumbimg

전기차 강세에도 정부와 기업 수소에 미래 역량 집중
안조영 기자 2021.03.04
전기차의 강세 속에서도 우리 정부와 기업들이 수소차에 미래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수소는 운송 에너지를 넘어 세계적 추세인 탄소 배출 제로 시대로 가는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이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산업통상자원부의 집계에 따르면 지 ...

thumbimg

지구온난화로 인한 온도상승 전 세계 산불위험도 증가 시킨다
안조영 기자 2021.02.26
GIST(광주과학기술원) 윤진호 지구‧환경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지구온난화로 인한 온도상승 영향으로 전 세계적인 기상학적 산불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기후변화와 산불발생 위험성 변화의 관계를 기후모델 시뮬레이션 자료 분석을 통 ...

thumbimg

차량용 에어매트리스 53.3%, 안전기준 넘는 유해 물질 검출
정두수 기자 2021.02.23
한국소비자원은 차량용 에어매트리스(베개 포함) 15개 제품의 소재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53.3%인 8개 제품에서 안전기준을 넘는 유해 물질이 나왔다고 23일 밝혔다.합성수지 소재인 3개 제품 베개에서는 내분비계 교란물질(환경호르몬) ...

thumbimg

미국 중남부 혹한과 폭설, 지구온난화로 제트기류가 풀리며 찬 공기 남하해 일어난 기상이변
이승범 기자 2021.02.18
음의 북극진동과 성층권 급격한 기온상승 모식도/기상청 제공.이번 겨울 텍사스 등 미국 중남부에까지 닥친 혹한과 폭설은 지구온난화로 북극 한기를 가뒀던 제트기류가 풀리면서 찬 공기가 남하해 일어난 기상이변으로 분석됐다.지난달 미국 서부 ...

thumbimg

지구 온난화 영향 봄꽃 개화 빨라지고 전국에서 큰 시차 없이 동시 진행 전망
이재철 기자 2021.02.17
지구 온난화 영향으로 봄이 일찍 오면서 봄꽃의 개화도 빨라지고 전국에서 큰 시차 없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기상청에 따르면 개나리는 3월 10일 제주를 시작으로 남부지방은 3월 11일~18일, 중부지방은 3월 18~23일, 경기북부 ...

thumbimg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 코로나19 팬데믹이 오히려 지구 기온 높여
차성호 기자 2021.02.05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이 지구 기온을 높혔다는 연구 결과를 지구물리학회 연구회보에 게재했다.연구진은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봉쇄조치가 없는 상황을 가정한 모델 분석으로 ...

thumbimg

인도 북서지역 강한 대류 활동이 한반도 가을 태풍 진로에 영향 끼쳐
차성호 기자 2021.02.02
좌/2019년 9월 한반도에 영향을 준 3개 태풍(링링, 타파, 미탁)의 진로와 북태평양 고기압 가장자리의 위치(검정 점선: 2019년, 실선: 평년).우/한반도 상층에 고기압 패턴(빨강 음영), 동중국해의 강한 남서 지향류(벡터), ...

thumbimg

지구온난화 영향 빙하 녹는 속도 30년 전보다 60% 가량 빨라져
이재철 기자 2021.01.29
북극 빙하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빙하 녹는 속도가 30년 전보다 60% 가량 빨라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최근 주요외신은 영국 리츠대학 등이 참가한 연구팀이 유럽지구과학연맹(EGU) 저널인 '지구빙권'에 실은 논문의 내용인 1994년부 ...

thumbimg

지구온난화 영향 2100년 한국 주변 해역 해수면 최대 73㎝ 상승 전망
정두수 기자 2021.01.29
해수면 상승으로 솔로몬 제도 5개 섬이 사라졌다. 태평양에 위치한 솔로몬 섬의 모습지구온난화 영향으로 2100년에는 한국 주변 해역의 해수면이 최대 73㎝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앞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지 않으면 최근 ...

thumbimg

지구온난화, 호수의 열파 현상 가속화시켜 21세기 말 극단적인 상황 도달 전망
차성호 기자 2021.01.22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위기가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 추세를 유지할 경우 호수의 열파(heatwave) 현상까지 가속화시켜 21세기 말이 되면 호수의 생명체가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등장했다.아일랜 ...

thumbimg

아파트 층간 소음 문제와 공사장 소음·진동으로 인한 국민 불편 해소에 나선다
정두수 기자 2021.01.21
정부가 최근 사회 이슈가 되고 있는 아파트 층간 소음 문제와 공사장의 소음·진동 등으로 발생하는 국민 불편을 줄이기 위한 방안 등을 마련하고 올해 중 시행에 들어간다.환경부는 건강 영향 중심의 소음관리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제4차 ...

thumbimg

바르셀로나대 연구팀, 지중해의 해초 포시도니아 오세아니카 플라스틱 오염 막는다
안조영 기자 2021.01.18
지중해 해초와 엉켜서 생긴 넵튠 볼(작은 사진)/바르셀로나대 제공스페인 바르셀로나대 연구팀이 바다에 버려지는 플라스틱 오염을 막는데 지중해의 한 해초가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연구팀은 2018년부터 2019년까지 ...

thumbimg

현재 수준 탄소 배출 우리나라 기온 2081~2100년에 7℃ 상승 전망
차성호 기자 2021.01.18
현재 수준으로 탄소가 배출될 경우, 우리나라 기온이 먼 미래(2081~2100년)에 7℃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폭염도 4배가량 증가해 93.4일, 일 년 중 25%가 폭염의 날씨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기상청은 ‘기후변 ...

thumbimg

2040년 한국의 120배인 지구 지표면 8%, 1200만㎢지역 지반 침하 피해 우려
안조영 기자 2021.01.04
세계 지반 침하 위험 지역. 아래는 북미와 중국의 지반 침하 위험 지역을 확대한 것. 빨간색이 가장 위험이 높은 지역/사이언스오는 2040년 지구 지표면의 8%에 해당하는 1200만㎢ 지역이 50% 이상의 확률로 지반 침하 피해를 입 ...

thumbimg

아시아 해안 홍합과 굴, 가리비 미세플라스틱 오염도 가장 높아
이재철 기자 2021.01.03
굴과 홍합해산물 중 홍합과 굴, 가리비가 미세플라스틱에 가장 많이 오염됐고, 아시아 해안의 생물에서 그 오염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영국 헐요크의과대 연구팀은 2014~2020년에 진행된 미세플라스틱 오염 수준과 관련한 연구 ...

thumbimg

1월부터 사은품 및 증정품 함께 묶어 포장, 판매 제품 3개 이하로 묶음 포장 금지
정두수 기자 2021.01.03
정부의 ‘생활폐기물 탈(脫)플라스틱 대책’이 확정돼 올해부터 시행된다.요지는 생산 단계부터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사용된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재사용 비율을 높여 플라스틱 생활폐기물을 줄이는 방안이다.환경부는 2025년까지 플라스틱 폐 ...

thumbimg

불에 잘 타지 못하게 하는 물질 난연제
이승범 기자 2020.12.23
<난연제(Flame Retardants)>말 그대로 불에 잘 타지 못하게 하는 물질로 방연제라고도 한다.연소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플라스틱에 첨가해서 물리, 화학적으로 개선시키는 물질이다. 즉, 플라스틱의 분해 온도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