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 영향으로 2100년에는 한국 주변 해역의 해수면이 최대 73㎝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앞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지 않으면 최근 30년간(1990~2019년) 약 10㎝ 상승한 것에 비해 상승 속도가 2배 이상 빨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국립해양조사원은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서울대 조양기 교수 연구팀과 국내 최초로 ‘고해상도 지역 해양기후 수치예측모델’을 적용한 한국 해수면 상승 전망치를 공개했다.
이번 전망치는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의 기후변화의 세가지 시나리오를 적용한 것이다.
IPCC에서 그동안 제공했던 예측모델인 ‘전 지구 기후예측 결과’(CMIP)는 해상도가 낮아 해수면 상승 정보를 상세하게 이해하기 어려웠다.
국립해양조사원은 고해상도의 해양기후 수치예측모델을 별도로 구축해 이번 전망치를 내놓았다.
온실가스가 현재와 같은 수준으로 계속 배출될 경우 2100년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면은 최대 73㎝까지 상승한다.
온실가스 감축 정책이 어느 정도 실현되는 경우 51cm, 온실가스 배출이 거의 없어 지구 스스로가 회복하는 경우는 약 40cm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IPCC는 제5차 평가보고서에서 21세기 후반에는 전 세계 해수면이 최소 26cm에서 최대 82cm 가량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 한국 주변 해역 역시 이와 비슷하게 40~73cm 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다.
해수면 상승 폭과 상승률은 이 세 가지 경우 모두에 대해 서해보다 동해가 소폭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홍래형 국립해양조사원장은 “최근 기후 위기가 심각해지며 신 기후체제 출범, 탄소중립 선언 등 국제사회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며 “기후변화 추세에 따른 정교한 해수면 상승 전망이 우리 연안관리와 정책 추진에 중요한 기초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 한다”고 말했다.
한편 오는 4월 IPCC의 제6차 평가보고서가 발간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