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thumbimg

전남 신안 협동조합, 태양광 등 신재생 사업 통한 이익금 1인당 연간 최대 40∼160만원 지급
안조영 기자 2021.03.16
전남 신안군 내 주민 협동조합이 태양광 등 신재생 사업을 통한 이익금을 조합원 1인당 연간 최대 40∼160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신안군의 첫 협동조합인 안좌·자라 주민협동조합은 지난 15일 안좌면 사무실에서 “안좌면 신재생에너지 주 ...

thumbimg

해안쓰레기 지난해 11만1592t 해마다 급증하고 플라스틱 쓰레기 비중이 83%에 달해
정두수 기자 2021.03.11
해양 쓰레기가 해마다 늘고 있고 이 가운데 플라스틱 쓰레기의 비중은 무려 8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해양수산부에 따르면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수거한 해양 쓰레기는 연평균 11만4212t으로 총 34만2637t이다. 2018 ...

thumbimg

환경부, ‘탄소중립 영상 공모전’ 다음달 9일까지 진행
정두수 기자 2021.03.09
환경부가 탄소중립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높이고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9일부터 다음달 9일까지 ‘탄소중립 영상 공모전’을 진행한다.탄소중립 광고(CF), 생활 속 탄소중립 실천법(아이디어), 국민이 상상 ...

thumbimg

광주광역시, 서울대 전력연구소와 공동으로 '국가 고자기장연구소' 유치 추진
안조영 기자 2021.03.02
자기장을 이용한 인덕션 가열방식광주광역시가 서울대 전력연구소와 공동으로 '국가 고자기장연구소' 유치를 추진키로 했다.시는 다양한 과학 분야와 제조업의 고도화를 위해 필요한 시설로 지역 전략산업인 첨단의료, 에너지신산업, 친환경자동차 ...

thumbimg

꽃망울 터트린 버들개지
이승범 기자 2021.02.21
버들개지는 버드나무로 잘 알려진 갯버들이다.물가에서 많이 자라 흔히 수양(水楊)버들이라고도 불리는 식물이다.높이는 1∼2m가 보통이며 뿌리 근처에서 가지가 많이 나온다.어린 가지는 노란 빛이 도는 녹색으로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잎 ...

thumbimg

눈 속에 핀 홍매화…‘설중매(雪中梅)’
이승범 기자 2021.02.21
매화는 봄을 알리는 신비로운 꽃으로 옛 선비들이 즐겨 그렸던 사군자 매란국죽(梅蘭菊竹)의 으뜸이다. 매화는 꽃을 강조한 이름이다. 열매에 초점을 맞추면 매실나무다.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매화는 다른 봄꽃 나무보다 일찍 핀다. 매화는 ...

thumbimg

한양, 남동발전과 1116억 원 규모 63MW급 고흥만 수상태양광 EPC 계약 체결
안조영 기자 2021.02.19
고흥만 수상태양광 발전소 조감도/한양 제공한양이 남동발전에서 발주한 63MW급 고흥만 수상태양광 약 1116억 원 규모의 EPC(설계, 자재 조달, 시공) 계약을 체결했다.전남 고흥군 두원면 일원 약 21만 평(약 67만 9천 ㎡) ...

thumbimg

‘광주형 인공지능-디지털 트윈’ 기술, 광주 2순환도로 햇빛 발전소에 접목
안조영 기자 2021.02.18
광주광역시청사 모습AI-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해 입체 지도 위에 발전소를 가상으로 설계한 후 현실의 최적 위치와 면적을 선정한 햇빛 발전소가 광주광역시에 들어선다.광주시는 18일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에너지자립도시 추진상황, 태양광 ...

thumbimg

‘E-모빌리티 사업 다각화를 위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및 서비스 제공방안’ 세미나 개최
안조영 기자 2021.02.17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이 3월 19일 서울 전경련회관에서 'E-모빌리티 사업 다각화를 위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및 서비스 제공방안' 세미나를 온, 오프라인으로 개최한다.E-모빌리티(Electronic Mobility)는 전기차, 이바이 ...

thumbimg

여수광양항만공사, 선박 플라스틱 쓰레기 활용 통해 '플라스틱 프리(Plastic Free) 항만' 조성
안조영 기자 2021.02.16
여수광양항만공사가 광양항 입항 선박에서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활용한 다양한 업사이클링 활동 등을 통해 '플라스틱 프리(Plastic Free) 항만' 조성에 나서고 있다.최근 급증하고 있는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양 동물 폐사 ...

thumbimg

전남도 350억 투입, 생활권 미세먼지 유입 차단하는 ‘미세먼지 차단 숲’ 조성
안조영 기자 2021.01.19
전남도는 생활권 미세먼지 유입 차단 및 쾌적한 녹지공간 조성을 위해 올해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 사업비로 전국 최다인 350억 원을 투입키로 했다.미세먼지 차단숲은 노후산단과 폐기물처리장, 생활권 주요 도로변 등에서 발생된 미세먼지가 ...

thumbimg

가정 배출 플라스틱 쓰레기 71.5% 식품 포장재
정두수 기자 2021.01.18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그린피스 제공우리나라 가정에서 나오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71.5%가 식품 포장재인 것으로 나타났다.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지난해 10월 전국 260개 가구에서 배출된 플라스틱 1만6629개의 형태를 조사했다. ...

thumbimg

전남대 캠퍼스 찾아온 원앙
이승범 기자 2021.01.03
천연기념물 327호인 원앙이 광주 도심 전남대 캠퍼스 내 용지에서 한가롭게 노닐고 있다.거문고와 비파처럼 함께 움직인다는 뜻을 담은 금슬의 상징인 원앙은 어디서나 환영받는 새다.물질만 추구하는 요즘의 삭막한 세태에서 진심으로 사랑하는 ...

thumbimg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에너지밸리 조성 고도화 사업 본격 추진
안조영 기자 2021.01.02
전라남도청 전경광주시와 전남도, 한전이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의 에너지밸리 조성 고도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이전 공공기관 연계 협업사업'으로 진행되며 사업비는 국비 80억 원으로 충당한다.이번 사업은 혁신도시에 이전한 공공기관과 ...
환경부, 지역 맞춤형 환경 개선 사업 지원하는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 대상 지역 25곳 선정
정두수 기자 2020.12.29
환경부가 지역 맞춤형 환경 개선 사업을 지원하는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 대상 지역 25곳을 선정했다.이번 사업은 정부가 추진 중인 그린 뉴딜 과제 중 '도시의 녹색 생태계 회복'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기후, 물, 대기, 자원 순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원한다.도시의 '녹색 전환'을 위해 3개 이상의 환경 분야 사
폐플라스틱 급증 속 재활용 안 돼 환경오염 심각 우려
이재철 기자 2020.12.28
폐플라스틱은 급증하고 있지만 재활용이 제대로 되지 못해 대책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폐플라스틱이 재활용되지 않으면 소각이나 매립에 의존하는 만큼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오염물질로 인해 심각한 환경 침해가 발생할 있기 때문이다.이는 폐플라스틱 분류 인력 부족과 가격 급락 등이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환경부 ...

thumbimg

가창오리의 화려한 군무(群舞)
이승범 기자 2020.12.28
▶가창오리의 화려한 군무(群舞)가창오리떼가 화려한 군무(群舞)를 펼치며 장관을 연출하고 있다. 저물어 가는 한해가 아쉬운 듯 동서남북 하늘 구석구석까지 자신들의 흔적을 남기기 위해 애쓰는 모습 같다.산만한 듯 하면서도 일사분란 한 것 ...

thumbimg

울산대 진정호 교수 연구팀, 생분해 가능한 식품포장용 투명필름 개발
이재철 기자 2020.12.16
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 진정호 교수 연구팀/제공=울산대학교울산대는 진정호 첨단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목재 펄프에서 뽑아낸 천연고분자 셀룰로스를 이용해 생분해가 가능한 식품포장용 투명필름을 개발했다.이번 필름은 식품 선도 유지에 필 ...

thumbimg

“코로나 극복…온 누리에 축복을”
이승범 기자 2020.12.06
올해 초 시작된 코로나19 확산으로 민초들이 경제적 어려움은 물론 마음의 여유도 잃어가고 있다.차가운 날씨 속에서 언제 끝날지 모를 두려움마저 겹쳐 사는 게 더욱 힘들다.그래도 인간이 위대한 것은 희망을 포기하지 않는 것이다.오늘의 ...

thumbimg

경기도 환경 유해 제품인 물티슈 사용 줄이기 나섰다
정두수 기자 2020.12.03
일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일회용 물티슈/기사 특정 사실과는 관련 없음경기도가 플라스틱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종이 재질로 대다수 인식하고 있는 물티슈의 사용을 줄이는데 나섰다.경기도는 최근 ‘물티슈 사용관리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제도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