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KT ‘황창규 사단’ 의혹 규명해야

에너지단열경제 / 기사승인 : 2019-03-25 18:16:48
  • -
  • +
  • 인쇄
KT가 2014년 1월 황창규 회장 취임 이후 정치권 인사와 군인, 경찰, 고위 공무원 출신 등 14명을 경영 고문으로 위촉해 이른바 ‘황창규 사단’을 만든 뒤, 고액의 급여를 주면서 각종 민원해결 등 로비에 활용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기업이 해당 분야의 경험 많은 전문가를 고문으로 활용하는 것이야 나무랄 일은 아니지만 단순한 자문을 넘어 사실상의 로비스트로 활용했다면 명백히 부적절한 처신이다.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철희(비례대표) 의원이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공개한 ‘KT 경영 고문’ 명단을 보면 KT는 2014년 11월부터 현재까지 14명의 경영 고문을 위촉해 자문료 명목으로만 1인당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씩을 지급했다. 이 기간동안 지급된 자문료 총액은 무려 20억원에 달한다.

더욱이 경영 고문 14명 중 11명이 위촉된 시기는 유료방송 합산규제법, SK브로드밴드-CJ헬로비전 합병 추진 등 KT의 경영 현안이 몰린 2015년 전후에 집중됐다고 한다. KT가 ‘경영 고문’제도를 단순한 자문 역할에서 뛰어넘어 당면 현안을 풀어낼 때 자사에 유리한 쪽으로 이끌어내려는 로비 창구로 활용했을 개연성이 매우 짙다. 말 그대로 정부와 기관을 상대로 로비를 하기 위해 해당 정부와 기관 출신을 대거 영입해 돈을 주고 은밀한 일을 맡겼다는 인상을 준다.

실제로 임명된 ‘경영 고문’들의 면면을 보면 이해가 간다. 우선 정치권에서 경영 고문으로 위촉된 인사로는 홍문종 자유한국당 의원의 측근 3명이 들어 있다. 당시 홍 의원은 KT 등 이동통신사 소관 국회 상임위인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현재 과학기술방송통신위) 위원장이었다.

본지 보도 등을 통해 논란이 불거지자 홍 의원은 “KT 경영 고문 위촉에 관여한 사실이 없다”고 해명했다. 홍 의원의 말대로라면 홍 의원의 국회 비서관, 정책특보, 선거 캠프 출신인 측근들을 자신과는 상관없이 KT가 자체 판단에 따라 위촉했다는 뜻이다. 이렇게 KT가 자사의 경영 현안과 직접 관련 있는 국회 상임위원회 위원장의 측근들을 집중적으로 공략해 ‘경영 고문’으로 위촉했다고 한다면 오히려 이것이 더 큰 문제다. 있는 그대로 특정인을 목표로 삼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접근했다는 뜻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이 부분은 KT가 나서서 직접 해명해야 한다.

그렇지 않아도 KT는 자유한국당 김성태 의원의 딸 특혜 채용 비리 의혹과 황교안 한국당 대표 아들 특혜채용 의혹 등 갖가지 의혹에 휩싸여 있는 판국에 또다시 석연치 않은 경영 고문 위촉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당국은 이들의 로비 의혹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 KT가 민영화된 지 17년이나 지났지만, 정권이 바뀔 때마다 덩달아 회장도 바뀌는 일이 많았다.

지금까지 터져 나온 KT의 대형 비리 근저에는 낙하산 인사가 자리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가볍게 봐서는 안 된다.KT가 2014년 1월 황창규 회장 취임 이후 정치권 인사와 군인, 경찰, 고위 공무원 출신 등 14명을 경영 고문으로 위촉해 이른바 ‘황창규 사단’을 만든 뒤, 고액의 급여를 주면서 각종 민원해결 등 로비에 활용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기업이 해당 분야의 경험 많은 전문가를 고문으로 활용하는 것이야 나무랄 일은 아니지만 단순한 자문을 넘어 사실상의 로비스트로 활용했다면 명백히 부적절한 처신이다.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철희(비례대표) 의원이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공개한 ‘KT 경영 고문’ 명단을 보면 KT는 2014년 11월부터 현재까지 14명의 경영 고문을 위촉해 자문료 명목으로만 1인당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씩을 지급했다. 이 기간동안 지급된 자문료 총액은 무려 20억원에 달한다.

더욱이 경영 고문 14명 중 11명이 위촉된 시기는 유료방송 합산규제법, SK브로드밴드-CJ헬로비전 합병 추진 등 KT의 경영 현안이 몰린 2015년 전후에 집중됐다고 한다. KT가 ‘경영 고문’제도를 단순한 자문 역할에서 뛰어넘어 당면 현안을 풀어낼 때 자사에 유리한 쪽으로 이끌어내려는 로비 창구로 활용했을 개연성이 매우 짙다. 말 그대로 정부와 기관을 상대로 로비를 하기 위해 해당 정부와 기관 출신을 대거 영입해 돈을 주고 은밀한 일을 맡겼다는 인상을 준다.

실제로 임명된 ‘경영 고문’들의 면면을 보면 이해가 간다. 우선 정치권에서 경영 고문으로 위촉된 인사로는 홍문종 자유한국당 의원의 측근 3명이 들어 있다. 당시 홍 의원은 KT 등 이동통신사 소관 국회 상임위인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현재 과학기술방송통신위) 위원장이었다.

본지 보도 등을 통해 논란이 불거지자 홍 의원은 “KT 경영 고문 위촉에 관여한 사실이 없다”고 해명했다. 홍 의원의 말대로라면 홍 의원의 국회 비서관, 정책특보, 선거 캠프 출신인 측근들을 자신과는 상관없이 KT가 자체 판단에 따라 위촉했다는 뜻이다. 이렇게 KT가 자사의 경영 현안과 직접 관련 있는 국회 상임위원회 위원장의 측근들을 집중적으로 공략해 ‘경영 고문’으로 위촉했다고 한다면 오히려 이것이 더 큰 문제다. 있는 그대로 특정인을 목표로 삼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접근했다는 뜻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이 부분은 KT가 나서서 직접 해명해야 한다.

그렇지 않아도 KT는 자유한국당 김성태 의원의 딸 특혜 채용 비리 의혹과 황교안 한국당 대표 아들 특혜채용 의혹 등 갖가지 의혹에 휩싸여 있는 판국에 또다시 석연치 않은 경영 고문 위촉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당국은 이들의 로비 의혹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 KT가 민영화된 지 17년이나 지났지만, 정권이 바뀔 때마다 덩달아 회장도 바뀌는 일이 많았다.

지금까지 터져 나온 KT의 대형 비리 근저에는 낙하산 인사가 자리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가볍게 봐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