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술

thumbimg

리튬 이온 배터리 대신하는 해수 전지의 고체 전해질 안정성 규명됐다
차성호 기자 2021.04.19
해수전지 모식도와 다양한 구동환경에서 고체전해질 안성정 실험/UNIST 제공리튬 이온 배터리를 대신할 수 있는 해수 전지의 핵심 부품인 고체 전해질의 안정성이 규명됐다.울산과학기술원(UNIST) 이현욱‧김영식‧곽상규 교수 연구팀이 차 ...

thumbimg

리튬이온 보다 저렴한 나트륨이온배터리 성능 향상 기술 개발, 전기차 확대에 도움줄 듯
이재철 기자 2021.04.19
개발된 나트륨이온배터리의 용량·수명 특성 평가 결과.200회 충????방전 후에도 흑연을 이용한 배터리보다 1.5배 용량을 유지하는 모습/KIST 제공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에너지저장연구단 김상옥 박사팀이 전기자동차에 주로 사용 ...

thumbimg

세계 최초로 니오븀(Niobium) 나노전기역학 소자 개발 및 검증 성공
이재철 기자 2021.04.15
초전도 나노전기역학 소자의 전자현미경 사진/표준연 제공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양자기술연구소 양자역학계팀이 세계최초로 니오븀(Niobium) 초전도 나노전기역학 소자를 개발하고 그 특성을 검증하는 데 성공했다.미래 정보통신 인프 ...

thumbimg

방사성폐기물 처분하지 않고 물질의 특성 활용해 재사용할 수 있게 됐다
안조영 기자 2021.04.13
탄화붕소 중성자흡수체 시제품을 들고 있는 박환서(사진 왼쪽) 한국원자력연구원 고방사성폐기물처리연구실장과 이기락 선임연구원/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한국원자력연구원 고방사성폐기물처리연구실 박환서 박사팀이 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물리화학적으로 ...

thumbimg

인공지능 기술 활용 태양광발전단지 최적지 찾아주는 태양광발전량 예측 앱 서비스 시작
안조영 기자 2021.04.10
한전KDN 제공한전KDN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태양광발전단지 최적지를 찾을 수 있는 태양광발전량 예측 앱 서비스를 시작했다.태양광발전량 예측시스템 ‘햇빛지도 앱’을 우선 상반기에 전남지역을 대상으로 서비스한 후 오는 7월부터 전국 ...

thumbim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53억 경쟁개발방식으로 지원하는 ‘미래수소원천기술개발 사업’ 추진
이재철 기자 2021.04.09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경쟁개발방식으로 6년간 253억 원을 지원하는 ‘미래수소원천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한다.이산화탄소 배출 없는 친환경·고효율 수소 생산·저장 기술 개발을 위한 것으로 올해 33억원을 시작으로 2026년까지 순차적으로 ...

thumbimg

광전효율 세계 최고인 25.6%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태양전지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4.06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모습/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김진영 교수팀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동석 박사 연구팀이 스위스 로잔공대(EPFL) 연구팀과 함께 소재 구성 대체 물질을 찾아내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효율 ...

thumbimg

한 개의 전기화학장치 내 전력 생산과 물 전기분해 통한 그린 수소 생산 실험 증명
정두수 기자 2021.04.05
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Solid Oxide Fuel Cell) 설치 모습세종대학교 나노신소재공학과 박준영 교수 연구팀이 전남대 신소재공학부 송선주 교수팀, 미국 메릴랜드 대학 Eric D. Wachsman 교수와 함께 양방향 ...

thumbimg

수소 생산과 전력생산 가능한 일체형 연료전지 문제점 해결하는 새로운 촉매 부품 개발
차성호 기자 2021.03.30
양친매성 티타늄 전극(왼쪽)과 기존 전극에서 산소 기포들이 빠져나가는 이미지/KIST 제공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소·연료전지연구단 박현서 박사팀이 김종민 박사와 서울대 성영은 교수팀과 공동으로 수소 생산과 전력생산의 순환 운전 ...

thumbimg

수소차 연료전지 핵심 소재 전해질 막 ‘과불화술폰산 이오노머(PFSA)’ 국산 상업화 시동
이재철 기자 2021.03.24
과불화술폰산 이오노머 최종산출물/한국화학연구원 제공한국화학연구원이 수소차 연료전지 핵심 소재인 전해질 막 ‘과불화술폰산 이오노머(PFSA)’를 국산화하기 위해 ㈜켐트로스와 지난 16일 계약을 체결하고 기술을 이전키로 했다.과불화술폰산 ...

thumbimg

전력반도체 내 탄화규소 결함 검사와 각종 문제 해결하는 분석 기술 개발
차성호 기자 2021.03.08
전력반도체용 SiC 소재, 결함 분석 평가 장비/한국전기연구원 제공한국전기연구원 전력반도체연구센터 방욱·나문경 박사팀이 전력반도체 소자의 시작점인 탄화규소(SiC) 소재의 결함을 조기에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기술이 ...

thumbimg

백금계 산소환원반응 촉매 대신하는 저렴한 비백금계 전기화학촉매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3.05
비백금 촉매의 연료전지 평가 결과/GRRC 제공유원철, 이상욱 한양대학교 에리카(ERICA)캠퍼스 화학분자공학과 교수팀과 유성종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 연구팀이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GRRC)의 지원을 받아 백금계 산소환 ...

thumbimg

KAIST 조은애 교수팀, 용량 25% 이상 늘리고도 안정적인 차세대 리튬 배터리 소재 개발
안조영 기자 2021.03.03
바나듐 도핑 전후 양극 소재 모식도(위쪽)와 소재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KAIST 제공한국과학기술원(KAIST) 조은애 교수 연구팀이 기존 배터리 양극재보다 용량을 25% 이상 늘리고도 안정적인 차세대 리튬 배터리 소재를 ...

thumbimg

그래핀 나노층 구조에 가둬진 중적외선 파동 이미지 세계 최초로 얻어내 전자기파 거동 관측 성공
차성호 기자 2021.03.02
AGP의 중첩 패턴이 보이는 그래핀 면의 가장자리(좌상). 그래핀의 가장자리를 확장한 이미지(우상). 근접장 현미경에서 얻은 근접장 신호(하)./KAIST 제공KAIST 장민석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와 국제 공동 연구팀이 그래핀 나노층 ...

thumbimg

세계 최고 수준 광전변환효율 25.2% 지닌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3.01
광전효율 25.2%를 기록한 새로 개발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구조/화학연구원 제공한국화학연구원 서장원 화학소재연구본부 박사 연구팀이 25.2%의 광전변환효율(빛을 흡수해 전기로 바꾸는 비율)을 갖는 세계 최고 수준의 ‘페로브스카이 ...

thumbimg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제조 장비 원천기술 확보, 해외 고가 장비 수입 대체 성과
이재철 기자 2021.02.26
최경락 수석연구원이 개발된 공정으로 생산된 CFRP 부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용도와 작업자에 최적화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생산 엔지니어링 공정기술’을 개발했다.즉, CFRP 제조 ...

thumbimg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초고온 플라즈마 운전 방해하는 불안정 현상 상호작용 밝혀내
이재철 기자 2021.02.24
자기섬 주변 난류 퍼짐에 의한 자기섬 안쪽 온도 증가/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이 핵융합에 필요한 초고온 플라즈마 운전을 방해하는 불안정 현상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밝혀냈다.한국 인공태양 케이스타(KSTAR) 연구본 ...

thumbimg

개폐장치의 대기오염 주범 육불화황(SF6) 가스, 친환경 저탄소 가스로 대체하는 기술 개발
안조영 기자 2021.02.17
한국전기연구원이 개발한 친환경 개폐장치한국전기연구원(KERI) 신전력기기연구센터 송기동·오연호 박사팀이 개폐장치에 필수적으로 투입되는 대기오염 주범인 육불화황(SF6) 가스를 친환경 저탄소 가스로 대체하는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

thumbimg

수 백회 충·방전에도 초기 용량 80% 이상 유지하는 배터리 전해액 첨가제 개발
차성호 기자 2021.02.15
첨가제별 배터리 충방전시 용량 변화 비교/UNIST 제공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최남순·곽상규 교수와 화학과 홍성유 교수팀이 대용량 리튬이온배터리 개발의 난제로 꼽혀 온 전극 소재의 불안정성을 해결할 수 있는 배터리 전해액 첨가제를 ...

thumbimg

전기 생산과 시각적인 투광성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고효율 CIGS 양면 투광 태양전지 개발
차성호 기자 2021.02.05
CIGS 투광 태양전지 사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전기 생산과 함께 태양빛의 일부를 투과시켜 시각적인 투광성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고효율 CIGS(구리, 인듐, 갈륨, 셀레늄) 양면 투광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