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전자

thumbimg

KIST, 부산대 공동 연구팀, 탄소나노튜브-폴리이미드로 구성된 투명전도성 필름 개발
차성호 기자 2021.02.16
폴더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유연성/부산대학교 제공한국과학기술원(KIST) 이필립 박사, 부산대학교 전일 교수 공동 연구팀이 한·일 공동연구를 통해 탄소나노튜브-폴리이미드로 구성된 투명전도성 필름을 개발했다.이를 통해 폴더블, 롤 ...

thumbimg

정부, 130억원 투입해 전기 차 폐배터리 등 가로등과 ESS 등에 재활용
이재철 기자 2021.01.22
전기차 배터리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부터 4년간 국비 총 130억원을 지원해 사용 후 배터리 성능·안전성 평가기술, 이동형 응용제품 개발, 메가와트시(MWh)급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기술개발·실증을 진행한다.이번 방침은 전기 차 폐배 ...

thumbimg

전기전도 기능 획기적으로 높이는 새로운 고분자 도핑(Doping)기술 개발
차성호 기자 2020.12.16
건국대 김봉기 화학공학부 교수와 아주대 김종현 응용화학생명공학과 교수, 신소재공학과 서형탁 교수 연구팀이 공액고분자의 분자도핑에 영향을 미치는 동역학 및 열역학 인자들 규명을 통해 전기전도 기능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새로운 고분자 도핑 ...

thumbimg

'저가형 금속·그래핀 복합잉크 제조기술' '2020년 10대 나노기술' 선정
이재철 기자 2020.12.02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자체 개발한 '저가형 금속·그래핀 복합잉크 제조기술'이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선정한 '2020년 10대 나노기술'로 선정됐다.과학기술계 출연연구원으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으며, 지난 9월 국가과학기술연 ...

thumbimg

DGIST, KAIST 공동 연구팀, 디지털 트윈 기술 기반 전고체 전극 결함 분석 기술 최초 개발
안조영 기자 2020.11.17
전고체 전극을 디지털 트윈화로 만든 3차원 이미지(맨위).전극 제조 과정에서 부서진 입자 파편과 그로 인해 상대적으로 많아진 비활성 입자를 분석한 결과 이와 같은 결함은 입자 간 낮은 전도성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준 그림 ...

thumbimg

국민대, 포스텍 공동 연구팀, 고용량과 수명이 긴 리튬이온배터리 소재 개발 성공
차성호 기자 2020.11.17
국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이현정 교수팀과 포스텍 박수진 교수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고용량이면서 수명이 긴 리튬이온배터리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고성능 전기차 배터리는 에너지 용량을 늘리면서도 충전 시간 단축과 안정성이 확보돼야 한다.현재 ...

thumbimg

투과전자현미경 이용,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의 양극 소재 열분해 과정 규명
이재철 기자 2020.11.17
실제 상한 충전상태에서의 NCA양극 소재의 화학 조성에 따른 열안정성 차이 원인 규명 모식도./KIST 제공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장원영 에너지저장연구단 박사, 김승민 전북분원 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 박사 공동연구팀이 투과전자현미경 ...

thumbimg

'꿈의 소재' 그래핀 원하는 크기와 층수로 결점 없이 떼어내는 박리법 개발
이재철 기자 2020.11.01
[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자연흑연에서 단일층의 그래핀을 박리하는 방법 및 크기 및 밀도 결과이재현 아주대학교 교수, 손석균 목포대학교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이 '꿈의 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을 원하는 크기와 층수로 결점 없이 떼어내는 ...

thumbimg

양면이 서로 다른 이미지와 색을 표기하는 '야누스' 투명 유리 개발
이재철 기자 2020.10.30
[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KIST 유용상(왼쪽) 박사와 경북대 이승열 교수가 개발한 유리를 앞, 뒷면을 각각 들고 있다./KIST 제공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센서시스템연구센터 유용상 박사팀과 경북대 전자공학부 이승열 교수팀이 ...

thumbimg

KAIST 김희탁 교수 연구팀, 레독스 흐름 전지 중 가장 수명이 길고 화재 안전한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0.10.05
[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고밀도 탄소 결함 계면을 통한 아연 덴드라이트 형성 억제 기술 개요도/KAIST 제공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희탁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수계 아연-브롬 레독스 흐름 전지 가운데 가장 수명이 길고 ...

thumbimg

서울기술연구원, 열수송관 파열 예방 IoT 기반 첨단 손상감지 시스템 세계 최초 개발
정두수 기자 2020.10.05
[에너지단열경제]정두수 기자서울기술연구원이 열수송관 파열 사고를 획기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반 첨단 손상감지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그동안 노후화된 열수송관 파열 사고에 대해 지상에서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

thumbimg

대량으로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가진 차세대 전지 고체 전해질 생산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0.09.08
[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기존 고체 전해질 합성법(왼쪽)과 연구팀이 개량한 합성법(오른쪽)./한국전기연구원 제공한국전기연구원(KERI) 차세대전지연구센터 박준우 박사팀이 전기차 분야 차세대 전지로 꼽히는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을 ...

thumbimg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에너지 모으며 바깥 풍경 볼 수 있는 창호형 고효율 투명 태양전지 개발
이재철 기자 2020.08.28
[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이 개발한 투명태양전지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이 에너지를 모으며 바깥 풍경도 환하게 볼 수 있는 창호형 고효율 투명 태양전지를 개발했다.이번에 개발한 창호형 고효율 투명 태양전 ...

thumbimg

4층짜리 균일한 그래핀 단결정 성장 합성법 최초 개발
이재철 기자 2020.07.28
[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고온에서의 구리-실리콘 합금화 과정부터 균일한 다층 그래핀 성장 과정./IBS 제공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연구단 이영희 단장과 삼성종합기술원, 부산대 공동 연구진이 4층에 이르는 다층 그래핀을 단 ...

thumbimg

수소 생산성 1.9배 높인 니켈 나노촉매 합성 장치와 제조법 개발
이재철 기자 2020.07.22
[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자동화 합성 장치를 활용한 니켈 촉매 합성, 적용 기술 개념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지찬 청정연료연구실 박사팀이 수소 생산성을 1.9배 높인 니켈 나노촉매 자동화 합성 장치와 제조법을 개발했다.이번 개발로 기 ...

thumbimg

DGIST, 값싼 염료 적용 새로운 베타전지 개발 성공
안조영 기자 2020.07.16
[에너지단열경제]안조영 기자 연구팀이 개발한 염료감응 베타전지. /DGIST 제공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인수일 교수 연구팀이 별도의 충전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료감응 베타전지'(Dye-Se ...

thumbimg

초저전력·저비용으로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 핵심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0.07.14
[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상용 사물인터넷 기기가 송신한 신호가 무전원 게이트웨이를 통해 Wi-Fi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모식도./KAIST 제공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신성철) 전기 및 전자공학부 김성민, 이융 ...

thumbimg

실리콘보다 전기 전달 능력 4배 높은 차세대 유기 반도체 소재 개발
이재철 기자 2020.06.24
[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탄소 원자가 6각형 모양을 이룬 고리가 4개 모여 삼각형 형태를 이룬 분자 '트리페닐렌'을 모아 다시 6각형 벌집 구조를 이룬 고분자 물질./IBS 제공기초과학연구원(IBS) 김기문 복잡계자기조립연구단장과 ...

thumbimg

울산과학기술원, 양자점 태양전지 효율 11.53% 높이는 기술 개발
박장수 기자 2020.04.24
[에너지단열경제]박장수 기자개발된 양자점 태양전지의 구조 및 고분자 모형 /사진=UNIST국내 연구진이 양자점(퀀텀닷)을 광활성층으로 이용해 태양광을 전기로 바꾸는 '양자점 태양전지' 효율을 11.53%까지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울 ...

thumbimg

카이스트(KAIST) 김명철 교수, 영상 암호화 및 배터리 저감 기술 개발
안조영 기자 2020.04.17
[에너지단열경제]안조영 기자카이스트(KAIST) 김명철 교수 연구팀의 영상 암호화 기술이 적용된 드론. /KAIST 제공카이스트(KAIST) 전산학부 김명철 교수 연구팀이 웹캠, 영상 드론, CCTV,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