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부터 4년간 국비 총 130억원을 지원해 사용 후 배터리 성능·안전성 평가기술, 이동형 응용제품 개발, 메가와트시(MWh)급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기술개발·실증을 진행한다.
이번 방침은 전기 차 폐배터리 등을 가로등과 ESS 등에 우선 적용해 재활용하고, 재활용이 힘들 경우 내부의 니켈·코발트·망간 등 유가금속을 회수 자원으로 활용키 위한 것이다.
정부는 재사용·재제조 배터리 백 성능과 안전성 시험평가 기술개발에 14억원을 투입한다.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을 활용한 성능·안전성 평가기술과 사용 후 배터리 전용 BMS 개발, 제어 알고리즘 설계·평가, BMS 안전·신뢰성 확보를 위한 표준화 사업 등에 지원한다.
카트 등 재제조 배터리를 활용한 이동형 응용제품 기술개발엔 5억원을 지원한다.
이동형 응용제품 적용 배터리 팩 기술개발 3건을 비롯해 사용 후 배터리 모듈을 활용한 팩 개발과 제작, 응용제품 운영환경을 고려한 BMS 최적화 기술개발 사업 등이다.
재사용·재제조 배터리를 활용한 신재생에너지연계 MWh급 ESS기술개발과 실증엔 10억원이 투여된다.
사용 후 배터리 BMS와 BCU 등 ESS 구축을 위한 시스템 설계·제작, 수명과 성능을 고려한 SOC 운영설계와 시스템 개발 사업 등이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