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현 아주대학교 교수, 손석균 목포대학교 교수 등 공동 연구팀
[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
자연흑연에서 단일층의 그래핀을 박리하는 방법 및 크기 및 밀도 결과
이재현 아주대학교 교수, 손석균 목포대학교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이 '꿈의 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을 원하는 크기와 층수로 결점 없이 떼어내는 박리법을 개발했다.
그래핀의 면적과 층수, 수율을 제어할 수 있어 그래핀의 산업적 이용을 앞당기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팀은 그래핀의 층간 결합력과 비슷한 수준으로 흑연 표면과 결합하는 금으로 흑연표면을 코팅한 뒤 테이프로 그래핀을 뜯어내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런 방법을 사용하면 균열이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전파돼, 단층의 그래핀만 분리할 수 있다.
연구팀은 금보다 흑연과 잘 결합하는 팔라듐, 니켈, 코발트를 코팅해 테이프로 뜯어 낼 경우 균열이 더욱 깊어져 결과적으로 더 큰 층수의 그래핀을 얻을 수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이 같은 방법을 통해 나노미터 면적의 단일층부터 이중층, 최대 40층 그래핀까지 얻어냈다.
기존 박리법 대비 약 4200배 넓은 면적의 단일층 그래핀을 얻어낸 것이다.
단위면적당 단일층 그래핀의 밀도가 최대 6000배 가량 증가할 정도로 높은 수율도 확보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원하는 면적과 층수의 그래핀을 얻을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흑연 위에 특정 성질의 테이프를 붙였다 떼는 방식으로 그래핀을 얻어, 면적과 층수를 제어하기 힘들었다.
연구팀은 "그래핀의 산업적 응용의 걸림돌 가운데 하나인 무결점 그래핀 확보를 위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논문은 국제학술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최근 실렸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