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전자

thumbimg

스마일샤크, 맑은소프트에 AWS 클라우드 최적화 서비스 제공… 글로벌 LMS 시장 경쟁력 강화
정두수 기자 2025.01.31
AWS 프리미어 파트너사 스마일샤크(대표 장진환)는 국내 대표 LMS 기업 맑은소프트(대표 하근호)의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AWS) 클라우드 인프라 최적화를 지원해 글로벌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했다고 24 ...

thumbimg

로프트아일랜드, 매출 성장의 주역 윤채성 대표 일선 경영 본격화
정두수 기자 2025.01.31
로프트아일랜드가 회사 경영 전반을 윤채성 대표에게 위임, 윤 대표를 중심으로 한 경영 체제를 본격화한다고 지난 23일 밝혔다.스타트업 업계에서 새로운 강자로 떠오른 로프트아일랜드는 2024년 비약적인 성장세를 기록했다.로프트아일랜드는 ...

thumbimg

세이지 세이프티, GS인증 획득
이승범 기자 2025.01.22
인공지능(AI) 기반 비전 솔루션 기업 세이지는 자사의 AI 기반 안전 모니터링 솔루션 세이지 세이프티(SAIGE SAFETY)가 GS (Good Software)인증 1등급을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GS인증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thumbimg

블루투스 SIG, Bluetooth Asia 행사를 5년만에 개최
이승범 기자 2025.01.16
블루투스® 기술 표준을 관리 및 감독하는 비영리 조직인 블루투스 SIG (Special Interest Group)가 오는 5월 22일부터 23일까지 중국 선전 컨벤션 전시 센터에서 ‘Bluetooth Asia 2025’를 개최한다. ...

thumbimg

아카라라이프, 차세대 IoT 스마트교실 구축… 속초양양교육지원청 융합형 특별교실 현대화 사업 일환
이승범 기자 2024.10.16
AIoT 전문기업 아카라라이프가 속초양양교육지원청에 청소년들의 최신 기술 이해도를 높이고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차세대 IoT 스마트교실’을 구축했다고 밝혔다.이번 ‘차세대 IoT 스마트교실’은 스마트 칠판과 태블릿 PC에 국한된 ...

thumbimg

차세대 고집적 반도체에 사용되는 2차원 절연체 소재 단결정 형태 합성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2.06.02
합성된 육방정계 질화붕소가 코팅된 웨이퍼/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현석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차세대 고집적 반도체에 사용되는 육방정계 질화붕소(hBN) 단결정을 여러 층으로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육방 ...

thumbimg

과학기술 인재 육성에 지난해 보다 3조원 가량 늘려 8조843억원 투입
이재철 기자 2022.04.09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올해 과학기술 인재 육성에 지난해 5조1359억원 보다 3조원 가량 늘린 8조843억원을 투입키로 했다.과기부는 지난 7일 제12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미래인재특별위원회를 열고 초격차 기술 개발과 핵심 ...

thumbimg

국내 139개 기술·제품 ‘CES 2022’ 혁신상 수상, 역대 최대
안조영 기자 2022.01.10
CES 혁신상 분야별 수상 비중역대 최대인 국내 139개 기술·제품이 세계 최대 정보통신(IT)·가전 전시회 ‘CES 2022’에서 혁신상을 수상했다. 한국무역협회가 10일 발표한 ‘CES 2022를 통해 본 코로나 공존시대 혁신 ...

thumbimg

우리나라 주도 개발한 양자암호통신 등 국제 전기통신표준화 표준 4건 사전 채택
안조영 기자 2021.12.13
국립전파연구원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우리나라가 주도해 개발한 양자암호통신 등과 관련된 표준 4건이 사전 채택됐다고 13일 밝혔다.지난달 29일부터 지난 10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된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 미래 ...
정부, ‘4차 산업혁명 시대 기술·IP 가치평가 활성화 방안’ 마련
정두수 기자 2021.08.21
정부가 기술 및 지식재산(IP) 가치평가 체계를 대폭 개선하는 내용의 ‘4차 산업혁명 시대 기술·IP 가치평가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다.주 내용은 기술·노하우 등 무형자산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기술 및 지식재산(IP) 이전 및 거래 활성화에 목적이 맞춰져 있다.정확하고 신뢰도 있는 가치평가 제도를 정착해 기술과 I ...

thumbimg

‘NTIS 정보활용 경진대회’ 및 ‘NTIS 콘텐츠 공모전’ 동시 개최
차성호 기자 2021.06.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기 위한 ‘NTIS 정보활용 경진대회’와 ‘NTIS 콘텐츠 공모전’을 개최한다.NTIS(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 ...

thumbimg

반강자성체의 스핀트로닉스 활용 가능성 높인 기계적 진동 통한 자기정렬 제어 기술 개발
차성호 기자 2021.05.17
기계적 진동에 의한 교환바이어스 특성을 나타낸 연구 내용 개요도/DGIST 제공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신물질과학전공 홍정일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메모리에 적용되는 반강자성체에 열과 자기장을 이용하지 않고 기계적인 진동을 가해 ...

thumbimg

커피링 얼룩자국 남지 않는 디스플레이용 양자점 균일 코팅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5.06
퀀텀닷 코팅 결과 비교./일반 열린 공간에서의 증류수 액적 증발 결과, 열린 공간에서 이성분(물-에탄올) 액적의 증발 결과, 갇힌 공간에서 이성분 액적이 유리 기판과 웨이퍼 표면 위에서 증발된 결과(왼쪽부터)/KAIST 제공KAIST ...

thumbimg

2030년대 양자(Quantum) 기술 4대 강국 진입 목표로 핵심인력 1천명 확보키로
차성호 기자 2021.04.30
연구개발 추진전략/과기정통부 제공정부가 2030년대 양자(Quantum) 기술 4대 강국을 목표로 핵심인력 1천명을 확보하고 양자 프로세서 등 양자 컴퓨팅·통신·센서별 도전적 원천기술 개발을 강화키로 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

thumbimg

SiC ‘트렌치 구조 모스펫’ 국산화 성공, 차량용 반도체 기술 선진국 진입
안조영 기자 2021.04.22
SiC 전력반도체 제조용 웨이퍼/한국전기연구원 제공최근 차량용 반도체(전력반도체) 품귀 현상이 세계 산업계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전력반도체의 성능과 가격 경쟁력을 크게 높이면서도 칩 공급을 더 늘릴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국산 상 ...

thumbimg

2차원 반도체 결함 나노주름, 제어하면서 수 나노미터 수준 정밀도 관찰 성공
차성호 기자 2021.03.24
현미경의 작동형태와 시각화된 인장 변형률 및 엑시톤 분포도/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물리학과 박경덕 교수팀이 자체 개발한 ‘능동형 탐침 증강 광발광 나노현미경’을 이용해 2차원 반도체 결함인 나노주름를 제어하면서 수 ...

thumbimg

액상과 고체 함께 쓰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합성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3.08
화학 기상 증착(CVD) 방법을 통한 몰리브데넘 다이셀레나이드 합성.촉진제를 포함한 액상 전구체 기반 화학 기상 증착 방법 모식도(a).촉진제 농도에 따른 몰리브데넘 다이셀레나이드(b)의 광학 이미지와 XPS 분석(c,d)/UNIST ...

thumbimg

배터리 내 하이니켈 수명 20% 늘리고 상온에서 입자 표면에서 내부까지 코팅하는 혁신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3.02
개발된 코팅법을 적용한 양극재를 썼을 경우 배터리 수명 유지 효과./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조재필 특훈교수 연구팀이 미 MIT 대학 쥐 리(Ju Li) 교수팀과 공동으로 배터리 수명을 저해하는 양극재 ...

thumbimg

포스텍, 울산대 공동 연구팀, 인간의 손보다 뛰어난 감각 가진 ‘인공 전자 피부’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2.23
물체의 종류 및 재질 구분 모식도와 인공 전자 피부 구조/포스텍 제공포스텍 화학공학과 조길원 교수, 울산대 화학과 이승구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인간의 손보다 뛰어난 감각을 가진 ‘인공 전자 피부’를 개발했다.인간의 손가락 감각을 모 ...

thumbimg

인공지능 기술로 퀀텀닷 및 반도체 소자의 양자 효율과 화학적 안정성 정밀 분석 성공
이재철 기자 2021.02.17
상용 퀀텀닷의 투사 데이터와 개발한 알고리즘으로 복원한 3차원 복원 결과/KAIST제공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예종철 교수 연구팀이 삼성전자 종합기술원과 공동연구를 통해 나노입자의 3차원 형상과 조성 분포의 복원 성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