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공=한국갤럽] |
국민 2명 중 1명 정도가 앞으로 1년간 우리나라 경기가 \'나빠질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7년 9월 이후 최대 수준이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이 지난 12~14일 전국 성인 1004명에게 향후 1년 우리나라 경기 전망을 물은 결과 14%가 \'좋아질 것\', 51%는 \'나빠질 것\', 30%는 \'비슷할 것\'으로 답했고 5%는 의견을 유보했다고 15일 밝혔다.
낙관 전망은 지난달보다 3%포인트 줄고 비관 전망은 1%포인트 늘어 10개월 연속 비관이 낙관을 앞섰고, 격차 폭은 2017년 9월 조사 시작 이래 최대 수준이다.
살림살이에 대해서는 15%가 \'좋아질 것\', 32%가 \'나빠질 것\', 50%는 \'비슷할 것\'이라고 내다봐 살림살이 전망 순(純)지수(Net Score: 낙관-비관 격차, -17)도 10개월 연속 마이너스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2017년 9월 이후 경기·살림살이 전망이 가장 긍정적이었던 시기는 4.27 남북정상회담 직후인 2018년 5월이다.
실업자가 향후 1년간 \'증가할 것\'이라고 보는 사람은 54%며 \'감소할 것\', \'비슷할 것\'이 각각 17%, 23%로 비관이 크게 앞선다.
향후 1년간 노사분쟁이 \'증가할 것\'이라는 의견은 52%로 넉 달 만에 소폭 감소했다. 감소할 것\'은 11%, \'비슷할 것\'은 25%다.
국제분쟁에 대해서는 43%가 \'증가할 것\', 16%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해 지난달보다 부정적이다.
기대를 모았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한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한 핵시설 관련 소식, 증시 등 국내 경제 파급력이 큰 미중 무역 합상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점은 우려감을 키우는 사안이라고 한국갤럽은 설명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