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알뜰교통카드 전국 확대…할인혜택 '30%+α'로 늘려

이성환 / 기사승인 : 2019-03-07 09:03:50
  • -
  • +
  • 인쇄
▲ [제공=국토교통부]

 

시범사업 중인 광역알뜰교통카드의 사용 범위가 전국으로 확대된다. 카드사와 협업으로 걷거나 자전거를 탄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해 대중교통비를 최대 30% 할인도 가능해졌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부터 세종, 울산, 전주 등 3개 지자체에서 시범사업 중인 \'알뜰교통카드\'를 올해 상반기중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 지자체로 확대 실시한다고 7일 밝혔다.

이 사업은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중 하나로 대중교통과 보행, 자전거 등 친환경 교통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 도입됐다. 교통비 절감을 위해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한 거리만큼 일정부분 할인해주는 것으로 지난해 실시한 시범사업에서 제기된 불편과 개선사항을 반영했다.

지자체별로 발급되는 교통카드 정기권을 이용하면 금액 충전시 민간 카드사 재원으로 10%(약 5000원) 할인 혜택을 준다. 또 도보나 자전거를 이용할 경우 1회당 최대 250원(최대 800m)씩 적립돼 총 20%(약 1만원)의 추가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추가 할인 재원은 정부와 지자체가 50%씩 매칭해 지원키로 했다.

먼저 전국 모든 지역에서 상관없이 버스나 지하철 환승이 가능해진다. 지금은 시범사업 지역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광역권 추가 환승이 불가능하다. 타 지역을 이동하거나 광역버스와 같은 더 비싼 요금 구간 탑승 시 별도의 교통카드로 결제해야 한다.

국토부는 올해 지자체별 2000명씩 총 2만여명에 대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범사업에 참여하려면 자신이 살고 있는 지자체에 사업 참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번거로운 충전, 선불 부담이 사라진다. 후불교통카드를 출시해 충전 부담은 없앴다. 전용 모바일 앱인 \'알뜰페이\'를 출시해 카드를 소지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 하나로 결제할 수도 있다. 기존 선불교통카드도 스마트폰으로 어디서든 충전이 가능해진다. 지금은 월 5만5000원의 선불보증금을 먼저 내야한다. 또 정기권 특성상 기간 내 사용을 하지 못하더라도 잔액이 소멸됐다.

이와 함께 보행·자전거 마일리지 앱 작동방식을 대폭 간소화하고 출발지·도착지와 대중교통 이용 실적을 토대로 자동으로 마일리지를 산정해 이용자들의 번거로움을 개선했다. 여기에 기존 할인혜택에 더해 카드사, 지자체, 기업과의 협업으로 교통비를 추가 지원해 30% 이상 할인이 가능해진다.

또 대중교통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늘리기 위해 카드사, 지자체,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혜택을 개발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1000㎡이상 시설물을 소유한 민간기업을 상대로 교통유발부담금 공제제도를 신설해 교통량 유발비용을 부담토록하고 감축 활동시 이를 일부 경감해주는 방식으로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하기로 했다.

강주엽 국토부 교통정책조정과장은 \"매일 정기적으로 지출하게 되고 나날이 늘어만 가는 가계비 부담을 생각할 때 광역알뜰교통카드가 국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무엇보다 지난해 시범사업을 거쳐 환골탈태한 광역알뜰교통카드를 기대해도 좋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