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코틴ㆍ타르 외 담배 유해성분 공개 방안 추진…전자담배 200개 성분

이성환 / 기사승인 : 2019-03-06 10:19:44
  • -
  • +
  • 인쇄
▲ [출처=pixabay]

 

일반담배와 전자담배의 유해성 논란이 여전한 가운데 담배에 든 각종 유해성분을 분석, 공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담배 성분 분석법과 독성·의존성 평가법을 마련해 담배 제품별로 성분을 측정해 공개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현재는 담배에 포함된 수백 가지 유해 성분 중 타르와 니코틴 함량만 담뱃갑에 표시하고 있다.

식약처에 따르면 궐련형 전자담배 등 신종 담배를 포함한 각종 담배 제품의 유해성분 정보를 국민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식약처는 일반 궐련 담배를 비롯해 궐련형 전자담배 120개 성분, 액상형 전자담배 200개 성분, 액상형 전자담배 20개 성분 등을 측정해 공개할 예정이다.

특히 궐련형 전자담배는 일반 궐련 담배와 비슷한 수준의 니코틴을 함유하고 있는 만큼 유해성분 측정 공개 대상에 포함시켰다는 게 식약처의 설명이다.

담배에는 수백 가지가 넘는 유해성분이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 담배에는 포름알데히드 등 68종, 전자담배에는 아크롤레인 등 20종의 유해성분이 포함돼 있다.

하지만 담배제조·수입업자들이 담배에 든 성분과 첨가물이 영업비밀이라는 이유로 공개를 꺼려해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타르와 니코틴 함량만을 담뱃갑에 표시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담배규제기본협약에 따라 담배 제조·수입업자가 담배 제품의 성분과 연기 등 배출물 정보를 정부 당국에 제공하고, 정부는 이를 공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2010년부터 담배회사들이 주요 성분과 600가지에 이르는 첨가물을 식품의약국(FDA)에 신고하고 있다.

유럽연합(EU)도 유럽의회와 유럽이사회 지침을 통해 담배제조회사가 담배 성분을 관할 당국에 보고하고, 대중에 공개토록 했다. 호주도 마찬가지다.

정부와 시민단체가 담배 성분을 공개해야 한다는 계속 요구하고 일부 의원들은 법안까지 냈지만 담배회사의 반발에 부딪혀 무산됐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