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생활화학제품 감시하기 위해 연간 최대 300만원의 신고포상금제 도입

정두수 기자 / 기사승인 : 2021-01-05 17:26:05
  • -
  • +
  • 인쇄
'생활화학제품·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 올해 시행

                      


불법 생활화학제품의 판매·유통에 대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감시를 이끌기 위해 신고포상금제가 1월부터 도입됐다.
'생활화학제품·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하위법령 개정안이 1월부터 시행된데 따른 것이다.
이번 개정은 화학제품안전법에서 위임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정하고, 살균·소독제 판매 시 검증된 효과·효능만 표시하거나 광고를 허용하는 등 부족한 점을 개선·보완키 위한 것이다.
주요 내용은 불법 생활화학제품의 판매·유통에 대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감시를 이끌기 위해 도입된 신고포상금제의 지급액 기준(건당 5~30만원)이 정해졌다.
1인당 연간 지급 가능 금액을 최대 300만원으로 제한, 검증 절차를 거쳐 사실 확인 후 포상금을 지급한다.
가정이나 다중이용시설 등에서 사용되는 살균·소독제의 허위·과장광고로 인한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키 위해 제품의 효과·효능에 대한 검증체계도 마련됐다.
제품에 포함된 살생물물질의 효과·효능을 알릴 경우, 제품 신고 시 입증자료 제출을 의무화하고 표시·광고에도 입증된 점만을 표시해야 한다.

                       시중의 살균제 제품들


이미 승인된 살생물 제품이 당초 승인받은 대로 제품의 품질을 유지·관리하도록 제조·보관시설, 안전관리 등의 구체적인 기준도 만들어졌다.
살생물 제품이 긴급하게 필요할 시, 관계 중앙행정기관장의 요청에 따라 제품의 승인을 한시 면제 가능한 근거 규정과 필요한 제출자료 등 관련 절차도 구비됐다.
국내 수입자를 대신해 국외 제조자가 살생물제 법적 승인의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선임자 제도의 세부 규정도 마련됐다.
환경부는 또 척추동물시험 허용의 예외 조항을 규정하고, 수입살생물처리제품의 유사성 기준을 보완하는 등 일부 규제를 합리화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