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유망 저장소의 이산화탄소 저장 규모가 7억3000만t으로 공개된 가운데 정부가 2030년까지 CCS 확보에 최대 1조4000억 원을 투입키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는 3일 ‘한국 CO2 저장소 유망구조 및 저장용량 종합평가 심포지엄’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CCS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안전하게 육상 또는 해양지중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전 세계적으로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CCS 저장소 및 기술 확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날 국내 CCS 유망 저장소의 이산화탄소 저장 규모가 7억3000만t에 달할 것이라는 종합 평가 결과도 공개됐다.
7억3000만t은 연 2400만t의 이산화탄소를 30년간 저장 가능한 규모다.
정부는 최근까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석유공사 등 전문기관이 참여한 합동연구단을 구성해 CCS 저장용량 종합·재평가를 실시했다.
고밀도 탐사 및 참조 시추 자료가 확보된 저장 후보지인 유망구조에 저장소가 확보될 경우를 가정해 이 같은 수치를 산정했다.
저장에 적합한 지질 특성을 가진 저장소 후보지인 잠재지층에 대한 추가 조사를 실시해 일부를 유망구조에 포함한다면 2억t의 추가 저장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기술 개발로 저장 효율을 향상한다면 2억3000만t을 더 늘려 최대 11억6000만t의 저장도 가능하다는 분석도 내렸다.
이에 따라 저장소 확보와 신규 저장소 탐사사업 추진 등에 4080억 원, 저장 운영 기술 및 저장 효율 혁신 기술 개발 등 1조90억 원, 국제 공동연구를 통한 상용기술 조기 확보 등 국제협력 120억 원 등 총 1조4000억 원을 2030년까지 투입키로 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