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국내 자연생태계 건강성 확보를 위해 브라운송어를 생태계교란생물로, 아프리카발톱개구리와 피라냐를 생태계위해우려생물로 지정 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브라운송어는 사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지정한 100대 악성 침입외래종으로 소양강 일대에서 서식이 확인됐다.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열목어 등과 경쟁 및 교잡의 우려가 있다.
냉수성 어종으로 산간 계곡, 대형댐, 저수지 저층부 등 연중 낮은 수온이 유지되는 지역에서 서식이 가능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소양강댐의 방류수가 유출되는 지역에서 서식이 확인되고 있다.
아프리카발톱개구리는 짧은 생식주기와 높은 번식력으로 일본 자연생태계에서 대량 번식한 사례가 있다.
기후가 비슷한 우리나라에서도 유출될 경우 생태계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피라냐는 열대성 어류로 국내 동절기에 특수한 지역 외 서식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지만 육식성이 강해 국내 토착 어류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우려되는 종이다.
생태계교란 생물은 생태계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큰 것으로 판단돼 개체 수 조절과 제거 관리가 필요한 종이다.
지정되면 학술연구와 교육, 전시, 식용 등의 목적으로만 지방환경청 허가를 받아 수입과 반입, 사육, 재배, 양도, 양수, 보관, 운반, 유통이 가능하다.
생태계위해우려 생물은 유출될 경우 위해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어 확산 정도와 생태계 영향을 지속해서 관찰할 필요가 있는 생물이다.
지정되면 상업적 판매 목적으로 수입·반입 때 지방환경청 허가를 받아야 하며 상업 목적 외 수입·반입 때도 신고는 해야 한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 1998년부터 지난해까지 황소개구리 등 33종 1속을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했다.
라쿤과 대서양연어 등 2종은 생태계위해우려 생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