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술

thumbimg

압력 센서 붙여 전고체 배터리 내부의 전지 수명 줄이는 부반응 확인 성공
이재철 기자 2021.09.07
두 종류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활용한 실험 모식도/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이현욱 교수팀이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바꿔 폭발위험이 줄어드는 전고체 배터리에 압력 센서를 붙여 내부에서 일어나는 전지 수명을 ...

thumbimg

습기 있는 조건에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작 성공
이재철 기자 2021.09.06
연구팀이 개발한 습기 조건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작 모사도/건국대학교 제공건국대학교 이만종 교수팀이 엄격히 조절된 환경 제약을 탈피해 습기가 있는 조건에서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작하는데 성공했다.이번 연구는 외부 공기를 ...

thumbimg

화학첨가물 대신 박테리오파지 활용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광전효율 높였다
이재철 기자 2021.09.02
M13박테리오파지 구조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적용원리/성균관대학교 제공성균관대학교 나노공학과 전일 교수와 부산대학교 에너지공학과 오진우 교수, 일본 교토대학교 김형도 교수 공동연구팀이 화학첨가물 대신 세균에 기생하는 박테리오파지를 ...

thumbimg

귀금속 잘게 쪼개 쓸 수 있는 단원자 촉매 합성 기술 개발 성공
이재철 기자 2021.08.30
로듐 단원자 촉매의 리간드 조절에 따른 촉매 구조 및 반응성 변화/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주상훈 교수팀과 KAIST 화학과 김형준 교수팀, 포항방사광가속기의 이국승 박사팀 등 국내 공동연구팀이 귀금속을 잘게 ...

thumbimg

세계 최초로 접힘과 적층 없는 완벽한 단결정 그래핀 대면적 제작 성공
이재철 기자 2021.08.26
그래핀에 접힘이 발생하는 메커니즘. 그래핀의 접힘 부분을 전자현미경(a,b) 및 원자현미경(c)으로 촬영한 모습/IBS 제공기초과학연구원(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이 세계 최초로 접힘과 적층이 없는 완벽한 단결정 그래핀을 대면적 ...

thumbimg

재생에너지 ‘부하변동’에도 안정적 수소 생산할 수 있는 수전해 전극 구현
이재철 기자 2021.08.25
희생 양극인 망간 도입 효과 설명 모식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조현석 수소연구단 책임연구원팀이 급격한 재생에너지 ‘부하변동’에도 성능 저하 없이 안정적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수전해 전극을 구현했다.연구팀은 ...

thumbimg

파도로 선박 배터리 충전하고 빗방울만으로 전기 생산 가능한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8.17
표면구력발전의 원리/고려대 제공고려대 바이오의공학부 천홍구 교수팀이 물방울의 움직임만으로 전기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전기습윤 원리를 역이용한 표면수력발전 원리로 물방울을 흘려보내는 것만으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표면수력발전은 ...

thumbimg

암모니아 분해해 시간당 1.8kg 고순도 수소 생산하는 반응기 핵심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8.11
암모니아 분해 반응기/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정운호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고온과 고압에서 암모니아를 분해해 시간당 약 1.8kg의 고순도 수소를 생산하는 반응기 핵심기술을 개발했다. 현대자동차의 수소차 넥소가 완충하 ...

thumbimg

부식의 원인인 탄소 전혀 쓰지 않고 수소연료전지 수명 3배 이상 늘리는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8.09
백금 나노구조 전극 촉매/KIST 제공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김진영·김종민 박사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정연식 교수 공동연구팀이 수소연료전지의 수명을 3배 늘릴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부식의 원인인 탄소를 전혀 쓰지 않고 ...

thumbimg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재 구조적 변형 문제 해결, 기술 개발 상용화 가능성 높여
이재철 기자 2021.07.21
실험 데이터 모습/순천향대 제공순천향대 에너지시스템학과 조남철 교수 연구팀이 열에 의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재의 구조적 변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기존의 실리콘 태 ...

thumbimg

기존 리튬 배터리의 2.6배 이상 용량 갖는 음극 소재 제작 성공
이재철 기자 2021.07.15
홍지현·정향수·이민아(왼쪽부터) KIST선임연구원/KIST제공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박사, 에너지소재연구센터 홍지현 박사, 수소·연료전지연구센터 정향수 박사 공동연구팀이 기존 대비 2.6배 이상의 용량을 ...

thumbimg

천만 배 더 적은 에너지로 발진 가능한 초저전력 극미세 나노레이저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7.14
위상 공간에서 위상 전하가 병합되는 과정의 모식도. 병합되기 전(왼쪽), 병합 직전(가운데), 병합 직후(오른쪽). 병합 직전과 직후에서 ‘슈퍼 BIC’가 나타나는 모습/고려대학교 제공박홍규 고려대 교수 연구팀이 키브샤 호주국립대 교 ...

thumbimg

열전소재 벌집 형태로 제작, 경량화와 내구성과 전기 변환 효율 높인 열전발전기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6.15
벌집 구조의 구리-셀레나이드 열전발전 부품/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과 손재성·채한기 교수팀과 애리조나주립대 권범진 교수 등 공동연구팀이 열전소재인 구리-셀레나이드를 3D프린팅을 이용해 벌집 형태로 제작해, ...

thumbimg

고체전해질 내 수소 이온 이동 원리 구체적으로 밝혔다
안조영 기자 2021.06.07
열처리 조건에 따른 배위수 변화와 수소 이온전도도 향상 원리/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나명수 교수·백승빈 연구교수·김영삼 교수 공동연구팀이 금속과 유기물이 혼합된 금속-유기 골격체(MOF)로 이뤄진 양성자 교환 ...

thumbimg

시금치 추출물 이용한 식물 광합성 전지 개발해 전기 생산 성공
이재철 기자 2021.05.22
직렬 연결된 광합성 전지의 개략도/홍현욱 박사후연구원 제공연세대 류원형·황성주 교수와 홍현욱 박사후 연구원, 호주 뉴캐슬대 이장미 박사후 연구원이 시금치 추출물을 이용한 식물 광합성 전지를 개발했다.광합성 전지는 빛과 물만 있으면 광 ...

thumbimg

저렴한 비귀금속 사용하는 음이온교환막수전해 기술 상용 수준으로 끌어올리는데 성공
이재철 기자 2021.05.19
산화도가 제어된 촉매를 적용한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 스택 성능 평가 개요도/한국재료연구원 제공한국재료연구원(KIMS) 에너지전자재료연구실 최승목 박사 연구팀이 값비싼 귀금속을 사용하지 않고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음이온교환막수전해 기술을 ...

thumbimg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태양전지 관련 측정 표준 KOLAS 공인시험기관 자격 획득
차성호 기자 2021.05.17
스펙트럼 응답 측정장치/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국내에서도 국제 수준에 부합하는 태양전지 소자 전류-전압(IV) 특성곡선 측정 표준(효율 측정)과 태양전지 스펙트럼 응답도 측정 표준에 대해 한국인정기구(KOLAS) ...

thumbimg

코발트 등 고가의 배터리 양극소재, 값싼 무질서 암염소재로 대체 길 열려
이재철 기자 2021.05.10
무질서 암염 양극재의 구조와 양극재 입자의 현미경 사진/UNIST 제공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서동화 교수, 캐나다 맥길(McGill) 대학교 재료공학부 이진혁 교수, 미국 MIT 쥐 리(Ju Li) 교수가 공동 참여한 연구팀이 고 ...

thumbimg

액상 암모니아(NH₃) 전기 분해 순도 90% 넘는 그린수소(H2) 생산 성공
차성호 기자 2021.05.06
그린수소 생산 전극(니켈기반)에 촉매를 입히는 기술을 나타낸 연구그림/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김건태 교수 연구팀이 액상 암모니아(NH₃)를 전기로 분해해 순도 90%가 넘는 그린수소(H2)를 생산하는 ...

thumbimg

안전한 이차전지 기술 개발, 리튬이온 전지 화재 원인 덴드라이트 형성 원천 차단
이승범 기자 2021.04.27
오믹(Ohmic) 접촉을 하는 n형 반도체와 리튬금속 사이를 전자는 통과하면서 반도체 층 내부에 리튬금속이 형성된다. 또 전해질 성분과 반응해 두꺼운 SEI 층이 형성된다(왼쪽). 쇼트키(Schottky) 접촉을 하는 p형 반도체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