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술

thumbimg

ABB, 미래형 디지털 진공 차단기 ‘VD4 evo’ 출시
안조영 기자 2023.02.15
ABB 신제품 디지털 진공 차단기 VD4 evo(에보)ABB는 전 세계 전력 시스템 변화에 따라 고압(MV, Medium-Voltage) 차단기 ‘VD4’의 꾸준한 제품 개발을 통해 원활한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

thumbimg

전기차 충전 플랫폼 플러그링크, 새 로고와 함께 브랜드 리뉴얼
안조영 기자 2023.01.09
출차알림시계전기차 충전 플랫폼 플러그링크(대표 강인철)가 9일 브랜드 리뉴얼과 함께 아파트 이중주차 문제를 완화하는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밝혔다.플러그링크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1년 ...

thumbimg

전력연구원, 차세대 에너지저장기술인 100kW/1MWh급 VRFB 개발 및 장기실증 돌입
안조영 기자 2022.08.08
100kW/1MWh VRFB 시스템/한전 전력연구원 제공한전 전력연구원이 차세대 에너지저장기술인 100kW/1MWh급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VRFB)를 개발하고 장기실증에 돌입했다.VRFB는 수계 전해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리튬이온전 ...

thumbimg

전극에 수화젤 코팅해 물 전기분해 성능 150% 이상 향상시키는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2.08.08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즈(Advanced Energy Materials)’의 표지논문/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류정기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이 전극에 수화젤을 코팅해 물 전기분해의 성능을 150% 이상 향상시키는 ...

thumbimg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사성 요오드 핵종 99.8% 이상 제거하는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2.07.25
개발한 흡착제흡착제 첨가 전(왼쪽)과 흡착제 첨가 후(오른쪽)/원자력연구원 제공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화학연구실 배상은 박사팀이 연세대 화학공학과 한병찬 교수팀·서울대-IBS 현택환 교수팀과 함께 원전 오염수가 포함된 바닷물이나 지하수에 ...

thumbimg

고농도 일산화탄소 바이오케미칼 전환되는 ‘생체촉매 기반 C1 바이오 리파이너리’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2.07.16
C1 가스 바이오 리파이너리 개요/KAIST 제공한국과학기술원(KAIST) 조병관 생명과학과 교수팀이 산업 부생가스 등으로 대량 발생하는 고농도 일산화탄소(CO)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할 수 있는 ‘생체촉매 기반 C1 바이오 ...

thumbimg

이산화탄소 발생 감축시키는 암모니아 혼소 운전 기술 국내 최초 개발
이재철 기자 2022.07.13
조성호 박사, 박성진 기술원, 문태영 박사, 김성주 박사(왼쪽부터)/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청정연료연구실 문태영 박사 연구팀이 국내 최초로 순환유동층 연소 시스템에서 이산화탄소 발생을 감축시키는 암모니아 혼소 운전 ...

thumbimg

결함 있는 탄소 나노 튜브 수지상 리튬 효과적으로 제어해 전지 안정성 문제 해결
이재철 기자 2022.07.11
모식도 이미지국립부경대학교 고민성 교수팀이 흑연 음극재에 결함이 있는 탄소 나노 튜브 성장을 유도해 흑연 음극재의 용량을 초과하는 충전 진행 때 흑연 표면에 형성되는 리튬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이를 용량으로 활용하는 연구 결과를 제시 ...

thumbimg

대용량 풍력발전기 사전검증시스템 개발 및 제어알고리즘 검증체계 구축
안조영 기자 2022.07.04
초대형 풍력발전기 사전검증시스템의 통합운영 프로그램/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팀이 대용량 풍력발전기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사전검증시스템(P-HILS)을 개발하고 풍력발전기의 제어알고리즘 검증체계를 구축했다.이번 ...

thumbimg

귀금속 촉매 사용하지 않고도 반응 단계 줄이는 정밀 합성법 개발 성공
이재철 기자 2022.07.04
연쇄 라디칼 반응을 이용한 탄소-탄소 화학결합 형성 과정/UNIST 제공UNIST(울산과학기술원) 홍성유·얀 로데 교수 연구팀이 귀금속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도 반응 단계를 줄이는 정밀 합성법 개발에 성공했다.이번 연구를 통해 정밀화합 ...

thumbimg

디스플레이 소재 양자점 이용 질소 고정 박테리아 암모니아 생산 효율 대폭 증가
이재철 기자 2022.06.16
양자점-박테리아 복합 시스템 형성 및 빛을 이용한 암모니아 생성 반응/KAIST 제공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도창 교수·이상엽 특훈교수·박영신 연구교수 연구팀이 디스플레이 소재인 양자점(퀀텀닷)을 이용해 질소 고정 박테리아의 암모니 ...

thumbimg

마찰계수 30% 줄여 연비 7% 높인 나노복합코팅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2.06.15
단일 합금타깃(왼쪽)과 나노복합코팅기술 개요/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한국생산기술연구원 문경일·윤혜원 박사 연구팀이 기존 코팅 막과 경도는 같으면서 마찰계수를 30% 줄인 ‘고경도·저마찰 나노복합 코팅기술’을 개발했다.자동차 엔진에 적용 ...

thumbimg

대용량 수소 상온·상압에서 운송할 수 있는 핵심기술인 다공성 실리카 기반 나노촉매 개발
이재철 기자 2022.06.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손현태 수소·연료전지연구센터 박사팀과 포항공과대(POSTECH) 윤창원 화학공학과 교수팀이 공동으로 대용량의 수소를 운송하는 데 필요한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연구팀의 개발품은 대용량의 수소를 저장한 후 상 ...

thumbimg

정부출연연구원의 사업화 유망기술 공개하는 ‘2022 테크비즈파트너링’ 6월 16~17일 개최
정두수 기자 2022.06.07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19개 정부출연연의 사업화 유망기술을 공개하는 ‘2022 테크비즈파트너링’을 6월 16~17일 양일간 코엑스에서 개최한다.이번 행사에서는 탄소중립 디지털 뉴딜 첨단바이오 우 ...

thumbimg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기술개발사업 본격화
안조영 기자 2022.06.02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안정성을 확보한 차세대 원자로로 알려진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고 있는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기술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공장에서 일체형으로 제 ...

thumbimg

마찰전기 발생 소재 표면 변환시켜 40배 높은 전기에너지 전환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2.05.30
마찰전기 전극에 전하를 주입하여 저장하는 개략도(위)와 입자 크기와 외부 비표면적 간 관계(아래 왼쪽)/GIST 제공광주과학기술원(GIST) 박찬호 에너지융합대학원 교수와 박종진 전남대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교수팀이 공동으로 마찰전기 ...

thumbimg

KAIST 마찰전기 발생 원리 세계 최초로 규명
이재철 기자 2022.05.26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과 김용현 교수와 신의철 박사, 여호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박사가 마찰전기(정전기) 발생 원리를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향후 실생활과 반도체 산업에서 원치 않는 정전기 등을 제어하는 데 활용 ...

thumbimg

1분 이내 초고속 충전과 반복 충전 시 98% 용량 유지율 보이는 알루미늄 배터리 개발
이재철 기자 2022.05.25
알루미늄 이온 배터리의 전기화학 특성 분석표./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저장연구실 윤하나 박사 연구팀이 목포대학교, UC 버클리대학, 하버드대학과 공동연구를 통해 1분 안에 초고속 충전이 가능한 차세대 알루미늄 ...

thumbimg

수전해 수소 생산 비용 대폭 낮출 수 있는 망간 기반 새로운 촉매 개발
안조영 기자 2022.05.17
전도성 탄소 도입을 통해 활성화 과전압을 극복하는 개념도/지스트 제공광주과학기술원(지스트) 지구환경공학부 이재영 교수와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이기영 교수 공동연구팀이 물을 전기분해해 고순도의 수소를 생산하는 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는 ...

thumbimg

전기차 사용되는 리튬이온전지 용량과 수명 정확하게 예측하는 AI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2.05.17
배터리 용량 및 잔존수명 예측 정확도와 강건성을 향상시킨 이미지/POSTECH 제공포스텍(POSTECH) 이승철 기계공학과 교수와 오기용 한양대 교수 공동연구팀이 전기차에 사용되는 리튬이온전지의 용량과 수명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