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자료 제공: 통계청 |
우리나라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이 OECD 국가 평균에 한참 못 미치는 등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19일 통계청은 ‘2017년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를 발표하면서 “우리나라 전체 일자리 중 공공부문이 차지하는 비율이 9%”라고 밝혔다. 이어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21.3%)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통계에 따르면 중앙정부·지방정부·사회보장기금 등 일반정부 일자리는 206만 3천 개, 지방자치단체 출연·출자기관을 비롯한 공기업 일자리는 34만 8천개다. (2017년 12월 기준) 전체 취업자 대비 일반정부와 공기업 일자리 비중은 각각 7.7%, 1.3%로 집계됐다.
공공부문 일자리 가운데 최근 2년 이상 동일한 직무를 이어온 ‘지속 일자리’는 207만 5천 개로 전체 공공부문 일자리의 86.2%를 차지했다. 이직이나 퇴직으로 대체됐거나 일자리가 새로 생겨 2017년에 신규 채용한 일자리는 33만6천개(14%)로 나타났다. 신규 채용 일자리 가운데 지방정부가 19만7천개(26.4%)로 가장 많았고, 중앙정부(8만9천개·26.4%), 비금융공기업(4만3천개·12.9%) 등이 그 뒤를 따랐다. 지속일자리란 1년 이상 동일한 사람이 일자리를 점유한 사례로, 상대적으로 안정된 일자리를 말한다.
신규채용 일자리 중 일반정부 일자리는 29만1천개(86.5%), 공기업 일자리는 4만5천개(13.5%)로 일반정부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점유한 일자리가 132만7천개(55.0%)로 여성(45%·108만4천개)의 1.22배 수준이었다. 특히 공기업의 경우 남성은 66.3%, 여성은 33.7%로 조사돼 성별 격차가 더 심화된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신규 일자리(33만6천개)의 경우 여성이 53.3%를 차지해 남자(46.7%)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정부기관의 공무원 중 남성 일자리는 7천 개 감소한 반면 여성 일자리는 1만3천개 증가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