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전남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과 전남도, 나주시는 최근 태스크포스를 꾸려 나주 혁신도시에 가칭 에너지고를 설립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도교육청 등은 나주 혁신도시 부영 골프장으로 입지가 확정된 한전공대 개교 시점(2022년 3월)에 앞선 2021년 3월 에너지 분야 특목고를 설립하기로 목
표를 세웠다.
카이스트(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를 선례로 한전공대와 연계한 인재양성 체계를 갖추겠다는 것이다.
에너지고는 학급당 15명 안팎 4개 학급, 학년당 60명 규모로 운영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교육청은 전남도, 나주시와 부지, 운영 방안 등을 협의해 중앙투자심사위원회 심의를 요청하기로 했다.
다만 400억원 가량으로 예상되는 학교 신설 재원을 마련하는 것과 함께 교육부 설립 인가 과정에서 난관이 예상된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미래 먹거리인 에너지 산업을 활성화하려면 한전공대가 성공적으로 안착해야 하고, 한전공대 성공을 위해서는 특화된 인재의 안정적인 공급이 절실하다”고 말했다.한전공대와 연계해 설립 추진되는 가칭 에너지고의 운영 방안이 영재 중심 특수목적고 형태로 추진된다.
12일 전남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과 전남도, 나주시는 최근 태스크포스를 꾸려 나주 혁신도시에 가칭 에너지고를 설립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도교육청 등은 나주 혁신도시 부영 골프장으로 입지가 확정된 한전공대 개교 시점(2022년 3월)에 앞선 2021년 3월 에너지 분야 특목고를 설립하기로 목
표를 세웠다.
카이스트(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를 선례로 한전공대와 연계한 인재양성 체계를 갖추겠다는 것이다.
에너지고는 학급당 15명 안팎 4개 학급, 학년당 60명 규모로 운영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교육청은 전남도, 나주시와 부지, 운영 방안 등을 협의해 중앙투자심사위원회 심의를 요청하기로 했다.
다만 400억원 가량으로 예상되는 학교 신설 재원을 마련하는 것과 함께 교육부 설립 인가 과정에서 난관이 예상된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미래 먹거리인 에너지 산업을 활성화하려면 한전공대가 성공적으로 안착해야 하고, 한전공대 성공을 위해서는 특화된 인재의 안정적인 공급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