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먹는 효소 제작 단계부터 투입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대로 썩게 하는 기술 개발

정두수 기자 / 기사승인 : 2021-04-22 19:04:26
  • -
  • +
  • 인쇄
UC 버클리 쉬팅 박사팀, 플라스틱 원료에 색소 섞어 색깔 입히는 과정과 비슷한 방법
상온 일주일 만에 80% 분해, 50도 조건에서는 6일 만에 모두 생분해 실험 결과

       생분해성 플라스틱 원료

플라스틱을 먹는 효소를 플라스틱 제작 단계부터 넣어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빠른 시간안에 제대로 썩게 하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됐다.
현재 폴리에스터의 일종인 ‘폴리 젖산(PLA)’으로 만든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썩는 플라스틱으로 친환경 제품으로 인정되고 있다.
문제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썩기 위해서는 65도 이상의 적절한 온도와 매립 환경 등이 전제돼야 한다.
현재까지는 이러한 환경을 갖춘 매립장이 많지 않고 분리 수거상의 문제로 인해 생분해 폐플라스틱들은 제대로 썩지 않는 일반 쓰레기 매립지로 유입되고 있다.
오히려 미세플라스틱을 양산하거나 재활용이 가능한 다른 플라스틱을 오염시키기도 한다.
이런 문제를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UC 버클리) 재료 및 화학 공학 교수 쉬팅 박사팀이 해결할 실마리를 찾아냈다.
플라스틱을 먹는 효소를 플라스틱 제작 단계에서 넣어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빠른 시간 안에 제대로 썩게 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고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빨대


연구팀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원료인 PLA에 먹는 효소를 혼합해 PLA 섬유를 일주일 만에 분해되도록 했다.
플라스틱에 잠복해 있던 효소는 적당한 물과 열에 노출되면서 깨어나 PLA의 고분자 사슬을 먹어 치움으로써 PLA를 토양 내 다양한 미생물이 처리할 수 있는 젖산으로 바꿔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다른 플라스틱은 생분해가 진행되면서 미세플라스틱을 만들지만, 효소를 이용한 방식은 PLA의 98%를 분자량이 작은 단량체로 만들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지난 2018년 ‘무작위 이종 중합체(RHP)’라는 합성 분자를 만들어 플라스틱을 먹는 효소를 감싸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 이번 성과를 이뤄내는 배경이 됐다.
나노 클러스터인 RHP는 플라스틱 제조 과정에서 효소가 서로 떨어져 나가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플라스틱을 먹는 효소를 RHP로 감싼 뒤, 플라스틱 제조 공정의 출발점이 되는 플라스틱 수지 구슬에 넣었다.
플라스틱 원료에 색소를 섞어 색깔을 입히는 과정과 비슷한 방법이다.
RHP로 감싼 효소가 추가됐지만 약 170도에서 녹고 다양한 제품을 만들어내는 플라스틱의 기본 특징과 기능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실에서 온도와 물의 조합을 달리하며 RHP로 감싼 효소를 넣어 만든 PLA 섬유의 생분해성을 검증한 결과, 상온에서는 일주일 만에 80%가 분해된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를 섭씨 50도로 높인 조건에서는 6일 만에 모두 생분해된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가 높을수록 RHP에 감싸인 효소가 더 많이 움직여 고분자 사슬의 끝을 빨리 찾아 먹게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효소 처리한 PLA 섬유는 낮은 온도나 짧은 기간 물에 담가놓는 것으로는 생분해가 일어나지 않아 땀이나 미지근한 물을 이용한 세탁 과정을 견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