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제공
기후변화로 최근 30년간 계절의 길이와 시작일이 변하면서 우리나라 봄꽃 개화 시기도 빨라지고 매미도 일찍 우는 것으로 관측됐다.
기상청은 최근 30년(1991~2020년) 동안 산출된 새로운 계절관측 평년값을 이전 30년(1981~2010년) 계절관측 평년값과 비교한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계절관측이란 자연 상태의 동일한 지점에 있는 동물, 식물, 기후계절을 매년 관측해 장기간의 생태계 변화를 살펴보는 방법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매미, 제비, 뱀, 나비 등 동물 9종과 매화, 개나리 등 식물 12종, 서리와 얼음 등 기상현상 5종을 관측했다.
관측결과 매화의 개화일이 3월18일에서 3월13일로 5일 빨라지고 개나리, 진달래, 벚나무의 개화일도 이전 평년값보다 1일씩 앞당겨졌다.
남부지방에서는 매화 2월 하순, 개나리 3월 중순, 진달래와 벚나무는 3월 하순에 개화했다.
매미의 첫 울음소리도 7월13일에서 7월10일로 3일 빨라졌다.
기후변화로 봄과 여름의 시작일이 평년에 비해 빨라진 것이다.
기온과 강수량, 일조시간 등이 앞당겨지며 동·식물의 생태 변화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전 봄의 시작은 3월7일이었으나 이제는 3월1일이다.
여름 시작도 6월2일에서 5월31일로, 봄과 여름의 기간도 각각 4일씩 길어졌다.
겨울을 알리는 얼음은 11월12일에서 11월15일로, 서리는 11월13일에서 11월16일로 각각 3일 늦춰졌다.
겨울의 길이는 94일에서 87일로 7일 단축됐다.
다만 가을철 단풍나무의 단풍 관측일은 1989년 관측 이래 큰 변화가 없었다.
단풍 시작일 평년값은 10월27일로, 1990년대 후반을 제외하곤 평균적으로 10월 하순에 첫 관측됐다.
이상훈 국립생태원 기후변화연구팀장은 “동일지점에서 장기간 축적된 계절관측 자료는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 연구에도 충분한 활용가치가 있다”며 “생태·산림 관련 연구기관과 연계하면 먹이그물, 산란시기 등 여러 생태계 요소에 대한 분석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