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탄소 배출 세계 7위, 1인당 탄소 배출량 세계 6위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해서 “기후위기의 하나의 현상”이자 “자연의 경고”라는 주장이 나왔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지난 23일 열린 ‘2021 경향포럼’에서 ‘생존 가능한 미래로 가는 길’이라는 기조강연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기후위기의 시대 - 생존 가능한 지구로 가는 길’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포럼에서 반 전 총장은 “기후위기와 코로나19는 기저원인을 공유하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며 “기후변화 문제를 엄중하게 받아들이고 자연 생태계의 소중함을 인식했더라면, 팬데믹으로 이 정도까지 극심한 고통을 겪지 않을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했다.
경향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반 전 총장은 “나쁜 의미에서 우리나라는 이미 주요 7개국(G7)이며, 이런 G7은 벗어나는 게 좋을 것”이라며 한국의 탄소 배출량 7위, 1인당 탄소 배출량 세계 6위를 빗대어 말했다.
또 “한국이 온실가스 배출 감축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좀 더 분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 한다”고 밝혔다.
반 전 총장은 “1951~2017년 누적 배출량 기준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 비중은 1%로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등에 이어 세계 11번째”라며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한국의 기여분이 결코 작지 않다”고 말했다.
덧붙여 “중국과 미국의 누적 배출량이 44%에 달하니 미·중 두 나라만 열심히 하면 된다는 견해도 있는데 그렇지 않다.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로 작은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반 전 총장은 정부·지자체 등의 움직임에 대해 “한국이 ‘2050 탄소중립’ 공약을 충실하게 이행하지 못할 경우 반드시 미래가 밝다고는 할 수 없다”며 “모든 정책의 우선순위를 기후위기를 해소하는 데 둬야한다”고 밝혔다.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반 전 총장은 코로나19와 기후위기 극복 과정에서 “보건, 환경, 경제회복 등 그 어떠한 목표도 포기할 수 없다”면서 “위기 극복 방안이 목표로 하는 평화와 번영이 지속 가능한지 여부를 기준으로 정책을 추진해 나가야한다”고 강조했다.
또 탄소 배출량을 낮추는 ‘감축(mitigation)’ 못지않게 기후변화 피해 최소화, 취약국 지원 등에 초점을 두는 ‘적응(adaptation)’ 노력도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까지는 감축 80%, 적응 20%였다면 앞으로는 50 대 50 정도로 적응에 쏟는 비중을 올려야 한다”며 “기후변화 대응은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적응, 기후 투자 강화 등 제반 분야가 함께 유기적으로 추진될 때 비로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