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 인프라 기업 자금으로 구축·운영 [에너지단열경제]김슬기 기자=100년 이상 영화를 누렸던 가솔린차의 환경오염 문제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신개념 친환경 이동수단으로 떠오른 것이 바로 ‘전기자동차’다. 전 세계 시장서 매년 그 판매량이 꾸준히 증가하는 등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요즘 ‘전기차 시대’가 조만간 도래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휘발유 등의 화석연료가 아닌 말 그대로 전기에너지로 움직이는 차로써 내연기관의 차와는 달리 전기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력으로 변환하는 과정서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열기와 소음이 적다. 전 세계가 일제히 전기차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다만 항속거리가 가솔린 차량에 비해 짧고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과 함께 고가의 가격, 충전 시설 부족, 짧은 배터리 수명 등의 풀어야할 과제가 아직 남아 있는 상황이다.
전기자동차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점차 확대되는 모양새로 오는 2025년에는 1,000만대를 돌파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가 내놓은 ‘최신 전기자동차 시장보고서’에 따르면 전기차의 세계 시장은 2017년 120만대 규모에서 올해 200만대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이러한 성장세가 가속화돼 2025년에는 약 1,100만대에 이를 것으로 관측됐다.
미래 먹거리로 전망이 밝은 전기차에 대한 육성도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탄소 및 질소산화물 배출량 감소 목적으로 친환경 자동차 사용을 독려하면서 세계 주요 정부들이 보조금 및 기타 인센티브 마련 등 지원 정책을 실천 중에 있다.
독일과 더불어 세계 자동차 업계 강자로 군림하고 있는 일본은 전기차에 있어서도 보조금 차등 지원을 통한 기술 고도화와 충전 인프라 다량 구축에 정부와 기업이 적극 나서왔다.
지난 2013년 당국은 배터리 용량에 따라 보조금을 차등 지원하는 방침을 세웠다. 주행 거리가 긴 차량은 최대 40만 엔을 지원했고, 지자체별로는 정부 보조금액의 50% 또는 10만~20만 엔의 혜택을 부여했다. 이후 2017년부터는 주행 거리에 따라 ㎞당 1000엔을 곱해 최대 40만 엔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즉 전기차 주행 성능이 뛰어난 차량일수록 우대하는 구조다. 이에 따라 일본 자동차 업계는 히트펌프식 히터를 도입해 에너지 효율을 높였고 구동 중에 전기가 충전되는 회생 제동 성능을 향상시켰다. 정부 정책으로 기술 고도화를 이룬 것이다. 2013년 닛산 ‘리프’는 모터의 희토류 298 사용량을 40% 줄이면서 기존 성능을 유지한 개선형 모델을 내놓기도 했다.
![]() |
▲ 닛산 신형 리프/ 한국 닛산 제공 |
일본은 여타 국가와는 달리 전기차 충전서비스 구축을 기업체가 이끄는 모습이다.
![]() |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지난 2014년 토요타, 닛산, 혼다, 미쓰비시 4개사가 공동 출자로 설립한 일본충전서비스(NCS)가 그 대표 사례다. 자동차 제작사가 자체 동원한 자금으로 고속도로, 유통점, 편의점 등에 충전 인프라를 구축해 운영하는 방식이다. NCS는 현재 일본 내 최대 충전 인프라를 보유한 유력 사업자로 성장했고, 유료 충전서비스를 통해 확보한 수익은 다시 충전 인프라를 추가 구축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일본 최대 유통사인 이온(AEON)과 세븐일레븐, 패밀리마트 등도 자사의 전국 유통망에 충전기를 설치하고 유료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 유통 사업자는 애초 고객 편의를 위해 충전기를 설치했지만 최근에는 서비스 질을 높여 수익 사업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