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수협 제공
시중에 유통되는 일회용 컵에서 ℓ당 조 단위의 미세플라스틱 조각이 녹아나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미세 플라스틱은 지름 100㎚(나노미터) 미만의 크기이며 1㎚는 100만분의 1㎜다.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연구팀이 지난달 20일 과학저널 ‘환경 과학과 기술’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일회용 컵에서 ℓ당 조 단위의 나노플라스틱 조각이 녹아나오는 것을 확인했다는 내용을 아시아경제는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시중에 유통되는 일회용 컵(355㎖)에 각각 22℃의 물과 100℃의 물을 부은 뒤 20분 동안 지켜봤다.
결과는 내벽에 코팅된 필름이 녹으면서 22℃의 물에서 ℓ당 2조8000억개의 미세 플라스틱이, 100℃에서 ℓ당 5조1000억개의 미세 플라스틱이 확인됐다.
검출된 나노 입자의 평균 크기는 30~80㎚로 매우 작았다.
나노 입자가 뜨거운 음료를 마시면 같이 방출돼 세포 안으로 들어가 생체 기능을 교란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실험 결과는 소비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제품이 건강에 위험할 수 있는 나노 입자의 주요 출처일 수 있음을 보여 준다”고 밝혔다.
아시아경제는 또 육지에 서식하는 세균이나 기생충이 미세 플라스틱을 타고 바다로 이동해 해양 생물들까지 감염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소개했다.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실린 미국 캘리포니아 데이비스대(UC데이비스) 수의과학대, 보데가 해양연구소, 네브래스카대 수의대, 캐나다 토론토대 진화생물·생태학과 공동 연구팀의 연구를 인용해 미세플라스틱이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균들을 바다로 전달하는 매개체가 되고 있어 해양생태계는 물론 인간의 건강까지 위협하고 있다는 것.
연구팀은 신경정신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기생충 톡소포자충(톡소플라스마 곤디), 호흡장애나 위장염을 일으키는 크립토스포리디움, 설사나 담낭염이 일어나게 하는 지알디아 등 인수공통감염병 원인균과 원형 미세 플라스틱·선형 미세섬유를 분석해 병원체와 바닷물 속 플라스틱의 연관성을 확인했다.
실험 결과 미세 플라스틱과 미세섬유 모두에 세균이나 기생충 등 육지 병원체가 달라붙을 수 있으며 알갱이 형태의 미세 플라스틱보다는 미세섬유에 더 잘 달라붙어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같은 미세플라스틱이 환경과 동물은 물론 결국 인간에게 심각한 피해를 준다고 말했다.
캐런 샤피로 UC데이비스 교수는 “병원균이 미세 플라스틱을 ‘히치하이킹’해서 도저히 발견되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곳까지 확산되고 있다”며 “미세 플라스틱은 환경, 야생동물, 인간 모두에게 심각한 피해를 준다”고 설명했다.
한편 미세 플라스틱은 일회용 종이컵 외에도 일상 속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물티슈, 마스크팩, 티백 등에서도 검출된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