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앞바다에 570만 가구의 전력 공급이 가능한 6GW 규모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건설된다.
정부가 내년 발전사업을 허가하면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총사업비 36조원이 투입돼 건설될 예정이다.
울산시는 6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울산 동해가스전 인근에 건설할 계획인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전략’을 보고했다.
우선 2025년까지 1.4GW 규모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소에 이어 2030년까지 나머지 4.6GW를 건설한다는 것이다.
울산시와 한국석유공사, 쉘-코엔스헥시콘, 에퀴노르(Equinor), GIG-Total, CIP-SK E&S, KF Wind 등 7개 기관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하는 1단계(1.4GW)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5개 민간투자사는 1GW, 석유공사와 울산시는 각각 200MW 규모 발전·연구단지를 건설한다.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은 풍력터빈과 타워가 부유체에 거치되고 부유체는 지반에 고정된 앵커, 계류라인과 연결된다.
고정식과 달리 수심 50~60m의 깊은 바다에 설치해 바람이 안정적이고 풍황이 우수하다.
다만 해상 작업기간은 짧지만 운영비와 계통연계 비용이 고정식보다 약 50% 많다.
부유식 해상풍력은 2019년 기준 전세계에 65.7MW(메가와트) 설치돼 있다.
오는 2030년까지 아시아와 유럽,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3~19GW가 추가 건설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부유식 해상풍력 시장에 한국기업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R&D(연구개발)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