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협약 체결식 사진(왼쪽부터) 유현호 광양경제청 투자유치본부장, 김영록 전라남도지사, 정창화 포스코 부사장, 김경호 광양시 부시장/전라남도 제공
전남 광양에 전기자동차 100만대 생산이 가능한 연간 4만3천t 규모의 수산화리튬 공장이 들어선다.
전라남도는 6일 이차전지 양극재 소재인 수산화리튬 생산 기업인 포스코리튬솔루션(주)과 7600억원 규모의 투자협약(MOU)을 체결했다.
포스코리튬솔루션은 포스코와 이차전지 핵심소재 원료인 리튬광산을 보유한 해외 광산업체가 설립할 합작기업(JV)이다.
해외 광산업체의 지분투자(30%)가 확정되면 1억 달러 규모의 외국인 투자유치 성과로 이어질 전망이다.
협약에 따라 포스코리튬솔루션(주)은 광양 율촌산업단지에 2023년까지 7천600억 원을 투자해 수산화리튬 생산공장을 건립하고 260명의 직원을 신규로 고용할 예정이다.
공장이 준공되면 전기차 100만대 생산이 가능한 연간 4만3천톤의 수산화리튬을 생산한다.
최근 전기차용 리튬수요 급증에 따라 업계에서는 전 세계 전기차용 리튬수요가 2020년 12만 1천 톤에서 2030년 143만 5천 톤으로 연평균 28%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리튬·니켈·코발트·망간 등의 금속은 이차전지 핵심소재인 양극재로 사용되는 만큼 전기차 수요 증가로 올 들어 해당 광물의 가격도 급등하고 있다.
한국은 리튬과 코발트 자제 공급이 아예 없어 배터리 원재료 대부분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리튬광산을 보유한 해외업체와의 이번 합작투자는 안정적 리튬원료 확보를 가능하게 해 리튬 매출액 5천 8백억 원에서 광석수입 비용 2천100억 원을 제외한 연간 3천7백억 규모의 수입대체 효과를 올릴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는 코발트, 리튬, 망간 등 유가금속 추출기술을 가진 중국 기업과 1천200억 원 규모의 합작법인 설립도 눈앞에 두고 있다.
리튬·니켈·흑연 등 원료확보를 연계한 이차전지 소재 밸류체인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