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매년 어패류를 통해 먹는 미세플라스틱(5㎜ 이하 플라스틱)이 세계에서 3번째로 많은 18만7000개에 달한다는 조사가 나왔다.
최근 영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헐 대학 연구팀이 2014~2020년 세계 각국이 발표한 논문을 분석해 전 세계인이 1인당 연간 5만4000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인간이 사용하고 버리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늘어나면서 세계 각지의 어패류에서 검출되는 미세플라스틱 잔류량도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수산물을 많이 먹는 지역일수록 미세 플라스틱 섭취량도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세계에서 홍콩 사람들이 연간 29만9000개로 가장 많았으며, 두 번째는 마카오로 23만1000개를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수산물 소비량 세계 1위인 한국인은 연간 18만7000개의 미세 플라스틱을 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과 마카오를 제외한 국가 기준으로는 세계 1위다.
우리나라를 이어 노르웨이(16만5000개), 스페인(16만4000개), 중국(15만4000개), 카리브해 섬나라인 안티구아 바부다(14만7000개), 일본(13만개) 등이 많이 섭취했다.
우리나라와 일본, 노르웨이, 스페인 등은 세계에서 수산물 소비량이 가장 많은 나라들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이들 4개국 사람들은 매일 10g 이상의 단백질을 수산물로부터 섭취한다.
지역별로는 중국, 어종별로는 조개류와 갑각류에 미세 플라스틱이 많이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 플라스틱이 가장 많은 수산물은 중국산 꼬막으로 1g당 10.5개가 발견됐다.
새우와 게 등 갑각류는 최대 8.6개, 어류는 2.9개의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됐다.
일본 도쿄만에서 잡힌 멸치에도 1마리당 2.3개의 미세 플라스틱이 잔류해 있다.
연구팀은 아시아 지역의 바다가 미세플라스틱에 많이 오염돼 있기 때문으로 이처럼 잔류 미세플라스틱이 많은 것으로 해석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