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의 강원도 대형산불
지난 7월의 높은 탄소배출량이 이상고온 현상과 대규모 산불 발생으로 인한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외신과 연합뉴스 등은 영국 가디언이 지난 7월의 탄소배출량이 2003년 위성 관측을 시작한 이후 역대 7월 중 가장 많았다는 보도를 했다고 밝혔다.
유럽연합 코페르니쿠스 대기감시 서비스는 지난달에 기존 7월 최대치였던 2014년보다 20% 증가한 3억4,300만 톤의 탄소가 배출된 것으로 추정했다.
이유는 유럽과 북미 지역의 산불 영향으로 지목됐다.
유럽산불정보시스템(EFFIS)에 따르면 6월 중순까지만 해도 이탈리아에서 산불 피해를 입은 지역은 거의 없었지만, 지난달엔 8만 헥타르가 불에 타 평년의 4배 규모를 기록했다.
지중해 국가 키프로스는 지난달 입은 산불 피해 규모가 역대 7월 평균의 8배에 달했다.
북미와 시베리아에서도 고온 건조한 기후와 산불은 계속되고 있다.
미국 서부 오리건주와 캘리포니아주에선 산불이 지난달 시작돼 아직까지 불길이 잡히지 않고 있다.
시베리아 사하공화국 남부에선 대규모의 타이가(침엽수림)가 불에 타 그 연기가 북극까지 퍼지고 있다.
코페르니쿠스 대기감시 서비스 역시 지난달 탄소배출량의 절반 이상이 두 지역에서 나왔다고 추산했다.
앞으로도 산불은 계속 확대될 것으로 보여 탄소배출의 악순환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