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 영향으로 우리나라 연평균 기온이 과거 30년 평균 대비 1.6℃ 상승하고 폭염과 열대야 일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상청은 지난 109년간(1912∼2020년) 서울, 인천, 대구, 부산, 목포, 강릉 6곳에서 관측된 자료를 바탕으로 장기간에 걸친 기후 변화 추세를 29일 발표했다.
최근 30년(1991~2020년) 연평균 기온은 과거 30년(1912~1940년)에 비해 1.6℃ 상승했다.
109년간 연평균 기온은 10년마다 0.2도씩 꾸준히 올랐고, 특히 봄과 겨울의 기온 상승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계절별 10년당 기온 상승 폭은 봄 0.26도, 겨울 0.24도, 가을 0.17도, 여름 0.12도 순이었다.
지점별 최근 30년과 과거 30년간 기온 차는 내륙이자 대도시인 대구와 서울은 각각 2.0℃, 1.9℃로 오른 반면 목포는 0.8℃ 상승에 그쳐, 대도시와 내륙의 상승이 두드러짐을 보여주고 있다.
10년당 기온 상승 폭은 대구 0.26도, 서울 0.24도, 인천·강릉 0.2도, 부산 0.18도, 목포 0.1도였다.
연 강수량은 최근 30년이 과거 30년보다 135.4㎜ 많았고, 강수일수는 21.2일 감소했다.
109년간 연 강수량은 매 10년당 17.71㎜ 증가했지만, 강수일수는 감소해 강수 강도가 강해졌음을 보여주고 있다.
계절별로는 여름철 강수량이 10년당 15.55㎜씩 가장 많이 늘었고 가을 5.16㎜, 봄 1.83㎜, 겨울은 오히려 0.65㎜ 줄었다.
강수일수는 전 계절 고르게 감소했고, 강수 강도는 가을(하루당 0.31㎜), 여름(0.26㎜), 봄(0.07㎜) 순으로 증가했다.
겨울의 강수 강도는 하루당 0.02㎜ 감소했다.
폭염과 열대야 일수는 최근 30년 각각 1.0일, 8.4일 늘어났다.
반면 한파·결빙 일수는 4.9일, 7.7일 줄었다.
기후가 급변하면서 계절·절기 간 경계도 흐트러지고 있다.
최근 30년 여름은 20일 길어지고, 겨울은 22일 짧아졌다.
봄과 여름 시작일은 각각 17일, 11일 빨라졌다.
이최근 30년 기준 여름은 약 118일에 달했고 가을은 69일로 가장 짧았다.
한국의 온난화 진행 속도도 세계 평균을 웃도는 것으로도 확인됐다.
지난 109년간 전 세계 기온 상승보다 한국은 0.8℃ 더 올랐다.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도 같은 기간 세계 평균보다 6.5ppm 높게 나타났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