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2045 탄소 중립 에너지 자립도시 실현 위한 ‘시민햇빛발전’ 본격화

안조영 기자 / 기사승인 : 2021-05-07 12:00:28
  • -
  • +
  • 인쇄
시민이 참여하는 햇빛발전소 145개 설립, 14.5㎿ 전기 생산 목표
20일부터 최대 2억 원씩 지원하는 2021년 시민햇빛발전소 구축·지원사업 공모

         광주광역시청 청사 전경 

 

광주광역시가 2045 탄소 중립 에너지 자립도시 실현을 위한 ‘시민햇빛발전’을 본격화하고 있다.
오는 2045년까지 시민 참여형 햇빛발전소 145개를 설립, 14.5㎿의 전기를 생산한다는 것이다.
태양광이 들어설 장소는 대규모 아파트단지 옥상과 산단·공단 입주 공장, 순환도로 방음 터널 지붕, 공공 유휴부지 등으로 다양하다.
빛그린산단 ㈜광주글로벌모터스 차체·도장·조립 공장과 주차장 지붕에 오는 2022년까지 11.2㎿ 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한다.
광주 제2순환도로 37.66㎞ 구간 곳곳의 방음 터널, 도로 구조물 등에도 2026년부터 67.3㎿ 용량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가동한다는 계획이다.
공공 유휴부지 46개소에는 7.4㎿ 규모의 발전시설을 갖춘다.
이와 함께 광주시는 시민들이 설립한 협동조합 등의 신청을 받아 최대 2억 원씩 지원하는 2021년 시민햇빛발전소 구축·지원사업 공모에 들어간다.
오는 20일부터 협동조합이 제안서를 제출하면 평가 작업을 거쳐 사업자를 선정한 뒤 1곳당 총공사비의 50%를 지원할 방침이다.
사업대상지 적정성과 조합원 참여도, 지역사회 공헌도 등의 평가점수가 평균 70점 이상이면 사업비가 지원된다.
협동조합은 시민햇빛발전소를 구축해 발생하는 발전수익을 조합원과 나누고 ‘에너지 전환씨앗기금’으로 재투자도 하게 된다.
광주시는 협동조합에 지원하는 만큼의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를 한국에너지공단으로부터 발급받고 해당 전력판매 대금은 에너지 전환기금으로 출자할 예정이다.
시민이 주도하는 햇빛발전소가 제대로 가동되면 탄소중립과 에너지자립 실현의 바탕이 될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시는 2019년 기준 5.5%에 불과한 전력 자급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시민·환경단체가 주도하는 광주에너지전환네트워크와 함께 민관협치 ‘광주형 그린뉴딜’ 정책도 추진 중이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