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이 오는 2024년 말까지 세계 첫 플라스틱 오염 규제 협약을 제정키로 합의했다.
해외 언론과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글로벌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2015년 파리기후협약 이후 최대의 친환경 합의(그린 딜)가 될 것으로 유엔환경총회(UNEA)는 평가했다고 밝혔다.
전 세계 175개국 협상 대표는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제5차 UNEA에서 일주일 넘게 협상을 벌인 끝에 급증하는 플라스틱 오염을 규제하자는 내용의 합의안을 만들어냈다.
회의장과 화상으로 5천명 가까이 이번 대회에 참가한 가운데 법적으로 구속력이 있는 플라스틱 오염 관련 조약을 만들기로 한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채택됐다.
UNEA는 유엔의 환경 분야 최고 의사결정기구이다.
에스펜 바스 에이데 UNEA 의장은 “우리는 오늘 역사를 만들고 있다. 여러분은 모두 자랑스러워해야 한다”고 말했다.
회원국들은 연내 정부 간 협상위원회를 구성해 협상을 개시하고, 2024년 협약 안건 완성을 목표로 한다는 계획이다.
이 조약이 구체화 할 경우 전세계 석유화학 기업과 경제에 파급 효과를 불러올 전망이다.
주된 플라스틱 생산국인 미국, 인도, 중국, 일본 등에 상당한 충격을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상 글로벌 협약을 만드는데 5년∼10년을 요구하는 데 비해 불과 플라스틱 규제협약 논의 기간이 3년 안으로 잡힌 것은 그만큼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협약은 플라스틱 제품의 생산에서 재활용, 폐기까지 라이프사이클을 다루며, 먹이사슬까지 영향을 미쳐 식탁 위 음식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미세플라스틱도 대상으로 삼는다.
플라스틱 생산은 해마다 늘고 있지만 재활용 비율은 10%가 채 안되고 대부분은 매립되거나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1분마다 쓰레기 트럭 한 대 분량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쏟아져 들어간다는 추정도 나온다.
그동안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가 국제사회의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유엔환경총회 차원에서 다수의 결의안을 도출했으나, 이번 합의는 해양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의 전주기적 관리를 핵심으로 하는 구속력 있는 협약을 제정하기로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번 총회에는 한정애 환경부 장관을 수석대표로 하고 외교부, 환경부, 해양수산부로 구성된 정부대표단이 비대면으로 참여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