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840만t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추가로 발생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해외언론과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중국 난징대학 펑이밍·우페이페이 박사팀이 지난 8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한 ‘코로나19로 인한 플라스틱 폐기물 방출과 세계 해양에서의 운명’이라는 보고서의 주 내용이다.
보고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지난 8월23일까지 193개국에서 840만t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추가로 발생한 것으로 추산했다.
이 가운데 2만5900t의 쓰레기가 바다로 유출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 팬데믹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수요가 증가해 이미 통제 불능인 전 세계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 것으로 지적했다.
연구팀은 팬데믹 이후 세계 193개국의 병원 의료 쓰레기, 코로나19 검사 키트, 마스크·장갑 등 개인 방역 물품, 온라인 쇼핑 포장재 등 4개 부분의 플라스틱 쓰레기 발생량을 조사하고 배출된 플라스틱 쓰레기의 이동 경로를 추적했다.
추적 결과 팬데믹 기간에 추가로 발생한 플라스틱 쓰레기의 87.4%가 병원에서 나왔다.
마스크와 장갑 등 개인 방역 물품이 7.6%, 포장재 쓰레기가 4.7%, 코로나19 테스트 키트가 0.3%를 차지했다.
플라스틱 쓰레기가 가장 많이 나온 지역은 아시아(46.3%)였으며, 유럽(23.8%), 남미(16.4%), 아프리카(7.9%), 북미(5.6%) 순이었다.
연구팀은 배출된 플라스틱 쓰레기의 향후 이동 경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강으로 흘러드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1.5%에 해당하는 2만5900t 정도가 바다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잘못 관리돼 국가가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크게 넘어선 상황도 우려했다.
펑이밍·우페이페이 박사팀은 “방출된 플라스틱은 바다에서 장거리로 운송될 수 있고 해양 야생동물에게 다다를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부상 또는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이번 연구가 전염병의 진원지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의료 폐기물 관리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