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평구 원장(오른쪽)과 레이니 위라하디쿠수마(Reini Wirahadikusumah) 반둥공과대학 총장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이 니켈, 희토류 등 광물자원 부국인 인도네시아에 핵심광물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한다.
지질연은 지난 7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개최된 '한-인니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과 핵심광물 탐사·개발·활용 공동연구 추진 및 공동연구센터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질연은 세계 각국이 핵심광물 확보를 위해 다방면으로 나서고 있는 상황에서 자원부국인 인도네시아와 협력해 희토류와 흑연·리튬·바나듐의 공급망 확보를 기대하고 있다.
여기에 인도네시아가 자국 내 광물 산업 진출을 위한 대가로 기술력이 동반된 투자를 유도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을 공식적인 협력파트너로 인정했다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지질연은 이에 앞서 이날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 아리핀 타스리프(Arifin Tasrif) 장관을 만나 인니의 핵심광물과 유가스전 분야 연구 협력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인니가 2060년까지 니켈을 포함한 핵심광물 재활용 기술개발 플랜트 건설을 계획하고 있어, 핵심광물 재활용 기술개발 역량을 보유한 KIGAM과의 국제공동연구를 희망하고 있다.
지질연은 작년 11월부터 반둥공과대와 광물자원 탐사·개발, 자원활용 선광·제련 공동연구 협력방안에 대해 꾸준히 논의해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기관이 공동연구센터 설립 논의를 본격화함으로써 아시아 핵심광물 신공급망 구축 기술 개발 거점으로 발전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지질연은 이번 협력으로 니켈 등 전기차 배터리 핵심 원료는 물론 희토류와 흑연, 리튬, 바나듐 등 차세대 광물자원 확보에 한걸음 나간것으로 판단하고 잇다.
이번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는 양국 기업 간 경제협력 양해각서(MOU)와 계약 16건이 체결됐다.
핵심광물 분야에서는 지질자원연-반둥공대 외에 광해광업공단이 인니 니켈협회와 공급망 및 기업 투자 촉진 협력 강화를 위한 협약을 맺었다.
8일 한-인도네시아 정상회담에서는 인도네시아 전기차 생태계 조성 협력 확대와 바이오·뿌리산업 등 미래산업의 육성·협력을 위한 정부 간 양해각서 2건도 체결됐다
.한편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핵심광물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베트남, 몽골,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까지 공조체제를 구축했으며 캐나다, 호주와는 연구기술 교류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