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술

thumbimg

마찰전기로 세계 최고 수준 5000V 이상 고전압 구현, 플라즈마도 생성해 내는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2.03
크룩스관의 형광체가 발광하고 진공상태에서 플라즈마가 생성되고 있는 모습/생산기술연구원 제공한국생산기술연구원 조한철 박사, 한국기술교육대 박진형 교수, 성균관대 김상우 교수 연구팀이 마찰대전 나노발전기의 전극 구조를 마이크로 톱니 형태 ...

thumbimg

전기차 대중화 기여할 급속충전 시 배터리 성능과 안전 보장하는 기술 개발
차성호 기자 2021.02.03
연구팀이 개발한 흑연 음극에 촉매 소재 적용 사진(우)./한국전기연구원 제공한국전기연구원 이상민 차세대전지연구센터장과 박민식 경희대 교수, 이종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 연구팀이 ‘음극용 촉매 소재 및 코팅 기술’을 개발 ...

thumbimg

세계 최초 저항·전압 표준 장치와 비교 검증 성공, 1nA 이하 미세전류 측정 표준 장치 개발
안조영 기자 2021.01.30
양자측정표준 삼각체계 실현 모식도/제공 KRISS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이 1nA(나노암페어·10억 분의 1암페어) 이하 미세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표준 장치를 개발했다.세계 최초로 저항·전압 표준 장치와 비교 검증하는데 성공한 ...

thumbimg

촉매기술의 난제 '메탄 직접전환공정' 효율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촉매기술 개발
차성호 기자 2021.01.29
연구팀이 개발한 메탄 직접전환 공정을 통해 효율을 높이는 촉매./에너지기술연 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희연 박사 연구팀이 지난 30년 간 촉매기술의 난제로 여겨졌던 '메탄 직접전환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촉매기술을 개발했 ...

thumbimg

작은 빛 에너지로 빛의 연쇄증폭반응 일으켜 더 큰 빛 에너지 방출하는 '광사태 현상' 발견
차성호 기자 2021.01.20
광사태 나노입자 기반 단일광선(Single-beam) 초고해상도 이미징/한국화학연구원 제공한국화학연구원(이하 화학연) 서영덕·남상환 박사 연구팀이 미국·폴란드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툴륨(Tm)’이라는 원소를 특정한 원자격자 구 ...

thumbimg

분리막 필요 없는 '멤브레인 프리(membrane-free) 수계 금속-이산화탄소 배터리' 개발
안조영 기자 2021.01.20
다양한 금속-이산화탄소 배터리 시스템 모식도: 기존 선행 금속-이산화탄소 배터리 시스템(Organic Metal-CO2 battery)으로부터 현재까지 배터리 시스템의 발전 방향 가장 오른쪽이 이번에 개발한 멤브레인 (‘Membran ...

thumbimg

KAIST 연구팀, 핫전자와 금속 나노선-산화물 계면 이용 온실가스 생성을 줄인다
차성호 기자 2021.01.12
백금 나노선을 타이타니아에 증착시켜 제작한 핫전자 촉매소자와 이를 이용한 온실가스 저감원리의 모식도/KAIST 제공KAIST 화학과 박정영, 신소재공학과 정연식, 생명화학공학과 정유성 교수 공동연구팀이 촉매의 선택도를 핫전자와 금속- ...

thumbimg

한국생산기술연구원, ESS 화재 예방 위해 미세한 전자 불꽃 감지하는 시스템 개발 성공
이재철 기자 2021.01.06
피라미드 엠보싱 구조의 배터리 트레이(오른쪽)/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최근 잇단 화재로 안전성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예방을 위해 미세한 전자 불꽃(아크)을 감지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에너 ...

thumbimg

백종범 UNIST 교수 연구팀, 쇠구슬 부딪히는 힘으로 화학적 반응 일으켜 암모니아 합성 성공
안조영 기자 2020.12.16
볼 밀링법을 통한 암모니아 생성 과정 모식도백종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연구팀이 작은 쇠구슬들이 부딪히는 물리적인 힘으로 기계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볼 밀링법으로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복잡한 설비 없이 필요한 ...

thumbimg

극한환경에서 작동하는 고효율 고체 섬유형 태양전지 개발 성과
이재철 기자 2020.12.14
이번 연구성과가 게재될 국제학술지 나노 리서치 표지/한국재료연구원 제공한국재료연구원 표면재료연구본부 송명관 박사 연구팀이 은(Ag) 입자가 포접된 다공성 실리카 나노구상입자를 이용해 극한환경에서도 작동하는 고효율의 고체 섬유형 태양전 ...

thumbimg

2050년 탄소중립 위해 필수적인 수소이용 방향 어디로 가야하나
박장수 기자 2020.12.07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대통령 직속 가칭 '2050 탄소중립위원회'를 설치해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 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문 대통령은 "화석연료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에너지 주공급원을 ...

thumbimg

고려대 김동완 교수팀, 리튬산소전지 내구성 높이는 활성산소 제거기술 개발
차성호 기자 2020.12.05
활성산소를 잡아내 양극 표면을 활성화한 결과 리튬산소 전지 특성 평가에서 약 0.06V의 낮은 과전압을 나타낸 그림/고려대 김동완 교수 제공고려대 김동완 교수 연구팀이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 저장용량이 5배 이상 높은 리튬산소전지의 ...

thumbimg

KIST-서울대 연구팀, 열로 전기 만드는 고효율 열전 부품 개발
차성호 기자 2020.12.02
신축성 열전소자//KIST 제공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소프트융합소재연구센터 정승준 박사팀이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홍용택 교수와 공동연구를 통해 열로 전기를 만들어내는 고효율 열전 부품을 개발했다.연구팀은 실리콘 기판 내부에 ...

thumbimg

UNIST 연구팀, 일산화질소를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암모니아로 100% 변환시키는 기술 개발
차성호 기자 2020.12.01
은나노 촉매를 이용한 일산화질소의 암모니아 변환 과정/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권영국·임한권 교수 연구팀이 김형준 카이스트(KAIST) 교수와 함께 미세먼지 원인물질 중 하나인 일산화질소(NO)를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

thumbimg

태양광으로 기존 4배 이상의 효율 나오는 수소 생산 전극소재 개발
차성호 기자 2020.11.30
투명전극(FTO) 위에 구리산화물 층을 먼저 입히고 그 위에 구리 비스무스 산화물 층(붉은색)을 만들었다/제공 아주대아주대 조인선 교수가 한국화학연구원 신성식 박사팀과 함께 태양광으로 기존보다 4배 이상의 효율이 나오는 수소 생산 전 ...

thumbimg

국내연구팀, 세계 최초로 핵융합발전장치 내 1억도 초고온 플라즈마 20초 유지 성공
차성호 기자 2020.11.24
KSTAR 주장치/제공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KSTAR연구센터,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미국 콜롬비아대 공동연구팀이 ‘땅 위의 태양(KSTAR)’으로 불리는 핵융합발전장치 내 1억도에 이르는 초고온 플라즈마를 세계 ...

thumbimg

IBS 이효영 연구팀, 20배 싼 원가로 생산성 6배 높이는 수소 생산 물 분해 촉매 개발
이재철 기자 2020.11.24
개발한 전기촉매 결정 구조 및 물 분해 과정/제공 IBS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 이효영 부연구단장 연구팀이 원가는 약 20배 싸게 생산성은 6배 높이는 수소 생산 물 분해 촉매를 개발했다.현재 대부분의 수소는 친환경 ...

thumbimg

거의 비슷한 비용으로 기존 보다 수소 생산량 8배 늘리는 촉매 개발
안조영 기자 2020.11.18
OMGC를 만드는 과정./UNIST 제공주상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교수 연구팀과 김진영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팀이 공동으로 튜브 모양의 그래핀으로 이뤄진 신소재 ‘그래핀 골격 메조다공성 탄소(OMGC)’를 합 ...

thumbimg

UNIST 장성연 교수팀, 이종 소재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개발, 효율 획기적으로 향상
안조영 기자 2020.11.17
개발된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탠덤 태양전지의 구조와 성능./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장성연 교수팀이 이종 소재 하이브리드 태양전지를 개발해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연구팀이 개발한 무기 페로브스 ...

thumbimg

한국화학연구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대량 생산 가능한 롤투롤 공정 세계 최초로 제작
이재철 기자 2020.11.17
세계 최초로 파일럿 스케일에서 전극 층을 제외한 모든 층을 롤투롤 그라비아 프린팅을 통해 제작하는 모습./화학연구원 제공한국화학연구원 서장원 박사 연구팀이 핀란드 VTT기술연구센터와 함께 PET필름에 그라비아 프린팅 기법을 도입해 페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