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thumbimg

10년 내 온실가스 배출량 2017년 대비 24.4% 감축키로
정두수 기자 2020.12.17
정부가 2050년 실질적 탄소 배출량이 제로가 되는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 10년 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7년 대비 24.4% 감축키로 했다.'2050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LEDS)과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 ...

thumbimg

지난 30년간 우리나라 연안 평균 해수면 매년 3.12mm씩 높아져
정두수 기자 2020.12.16
해수면이 급속하게 상승하고 있는 태평양 군도의 투발루나기후변화로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면서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 상승 속도가 매우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변동을 연구하기 위해 30년간 ...

thumbimg

미국 사이언스뉴스, “낙타, 플라스틱 먹고 굶어 죽는다” 보도
정두수 기자 2020.12.16
미국 과학 매체 사이언스뉴스가 “미국과 아랍에미리트(UAE) 과학자들이 낙타들이 플라스틱을 먹고 굶어 죽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조선일보가 최근 보도했다.미국 5 자이어 연구소의 마르쿠스 에릭슨 박사 연구진은 최근 국제 학술지 ‘사 ...

thumbimg

지하철 미세먼지, 체내 면역력 저하와 폐 조직 손상 및 만성 염증 유도
정두수 기자 2020.12.14
지하철 미세먼지가 체내 면역력을 떨어뜨리고 폐 조직 손상과 만성 염증을 유도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또 대기 중 미세먼지는 저산소증을 유발해 태아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같은 내용은 경희대 동서의학연구소 박은정 ...

thumbimg

올해 지구 평균기온 산업화 이전보다 1.2도 더 높은 역대 가장 따뜻한 3년 중 한 해
정두수 기자 2020.12.07
기상청이 세계기상기구(WMO) 보도자료서 인용한 사진올해가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약 1.2도 더 높은 역대 가장 따뜻한 3년 중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기상청이 6일 내놓은 세계기상기구(WMO) 보도자료 번역본에서 올해 ...

thumbimg

2030년 이전에 지구 기온 1.5도까지 상승할 수 있다
정두수 기자 2020.12.05
2030년 이전에 지구 기온이 1.5도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상청은 지난 2일 '제2회 IPCC 대응을 위한 국내 전문가 토론회'를 열고 이 같은 분석 결과와 오는 2021~2022년 사이 발간될 것으로 예상되는 6 ...

thumbimg

온실가스 배출 중단해도 수백 년간 지구온난화 막기 힘들다는 전망 등장
차성호 기자 2020.11.18
온실가스 배출을 완전히 중단하더라도 수백 년간 지구온난화를 막기가 힘들다는 전망이 등장했다.'BI 노르웨이 경영대학원'의 기후전략 명예교수 외르겐 란데르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복잡한 지구시스템 모델의 핵심 부분 ...

thumbimg

온실가스 지속 배출될 경우 그린란드 3대 빙하 녹아 2100년까지 해수면 9.1~14.9㎜ 높아져
차성호 기자 2020.11.18
위성사진으로 보는 그린란드의 온도변화현재 추세로 저감 노력 없이 온실가스가 배출될 경우 그린란드 3대 빙하의 녹는 속도가 빨라져 2100년까지 해수면을 9.1~14.9㎜를 높일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이는 앞으로의 해수면 상승폭이 ...

thumbimg

IBS, KIST 공동연구팀, 치료와 예방 어려웠던 치매 발병 원인 밝혀냈다
차성호 기자 2020.11.17
이창준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연구단장과 전희정 선임연구원, 류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단장 연구팀이 치료와 예방이 어려웠던 치매의 발병 원인을 밝혀냈다.공동 연구팀은 뇌 속의 독성물질을 분해해 치매 ...

thumbimg

병 걸린 가축 늘어날수록 지구 온난화 속도도 빨라
이재철 기자 2020.11.01
[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병에 걸리는 가축이 늘어날수록 지구 온난화 속도도 빨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바네사 이젠와 미국 조지아대학 생태학과 교수 연구팀은 최근 소, 양, 염소 등 반추동물이 기생충이나 세균, 박테리아 등에 감염 ...

thumbimg

농작물 재배에 사용하는 질소 비료에서 온실가스 아산화질소(N₂O) 발생
정두수 기자 2020.11.01
[에너지단열경제]정두수 기자2007~2016년 지구촌 N₂O 생성 및 소멸 도표(단위 테라그램(Tg·100만t)식량과 사료 증산을 위해 사용하는 비료가 온실효과를 초래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연합뉴스에 따르면 이탈리아 카를스루에공과 ...

thumbimg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대기오염에 장기간 노출과 관련 있다
차성호 기자 2020.11.01
[에너지단열경제]차성호 기자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중 최대 15%, 미국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사망자의 약 18%가 대기오염에 장기간 노출된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독일 마인츠대학교의 메디컬센 ...

thumbimg

미세플라스틱으로 오염된 토양에서 지렁이 섭취활동으로 나노플라스틱 발생
이재철 기자 2020.10.19
[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지렁이에 의해 작게 쪼개진 나노플라스틱 배출 메커니즘/한국연구재단 제공건국대 환경보건과학과 연구팀이 미세플라스틱으로 오염된 토양의 경우 지렁이의 섭취활동 때문에 토양 내 미세플라스틱이 더 잘게 쪼개져 나노플 ...

thumbimg

우리가 먹는 수산물 95% 이상에서 미세플라스틱 검출
이재철 기자 2020.10.13
[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우리가 먹는 수산물 95% 이상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고 성인 1인당 미세플라스틱을 하루 3.6개, 연간 1,312개를 섭취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정춘숙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
페트병 등을 기존보다 6배 빠르게 분해하는 ‘슈퍼 효소’ 개발
정두수 기자 2020.10.06
[에너지단열경제]정두수 기자플라스틱 쓰레기를 더욱 빠르게 분해할 수 있는 ‘슈퍼 효소’가 개발돼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영국 가디언 등 해외 언론은 영국 포츠머스대학과 미국 국립재활용에너지연구소 공동 연구진이 플라스틱을 ‘먹어’ 해치우는 슈퍼 효소를 이용해 페트병 등을 기존보다 6배 빠르게 분해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

thumbimg

호주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 해저에 1400만 톤 넘는 미세 플라스틱 쌓여 있는 것으로 추정
정두수 기자 2020.10.06
[에너지단열경제]정두수 기자해저에 1400만 톤이 넘는 미세 플라스틱이 쌓여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호주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가디언에 따르면 호주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가 호주 남부 해안에서 약 300km 떨어진 6곳의 해양 ...

thumbimg

건선, 환경오염 독성물질에 의한 아릴탄화수소 수용체와 자가포식의 상호작용 세계 최초 규명
차성호 기자 2020.10.05
[에너지단열경제]차성호 기자 정보영 교수/한림대 제공한림대 강남성심병원 피부과 정보영 교수 연구팀이 건선이 환경오염 독성물질에 의한 아릴탄화수소 수용체(Ahr)와 자가포식(Autophagy)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는 ...

thumbimg

온실가스와 온실효과
차성호 기자 2020.09.16
[에너지단열경제]차성호 기자올여름 한반도에 무려 54일간의 장마와 집중 호우 등을 일으킨 기상 이변이 발생했다.일부의 반론도 있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온난화를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인명과 재산상 피해도 상상할 수 ...

thumbimg

국립산림과학원, 2030년까지 매년 3억씩 투입 인도네시아 이탄지 보전·복원 사업 추진
정두수 기자 2020.09.09
[에너지단열경제]정두수 기자인도네시아 중부 칼리만탄 분또이 지역 이탄지 전경./국립산림과학원 제공국립산림과학원이 국제임업연구센터(CIFOR)와 함께 오는 2030년까지 매년 3억원씩 투입해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와 칼리만탄 지역의 이탄지 ...

thumbimg

동남아시아 코로나19 지속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로 몸살 앓아
정두수 기자 2020.08.27
[에너지단열경제]정두수 기자동남아에 유입된 영국 플라스틱폐기물코로나19 팬더믹(대유행) 지속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이 급증하면서 동남아시아가 플라스틱 폐기물과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매년 전 세계 바다에 버려지는 800만t의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