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면서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 상승 속도가 매우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변동을 연구하기 위해 30년간의 연안 조위관측소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지난 30년(1990~2019년)간 우리나라 연안의 평균 해수면이 매년 3.12mm씩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발표한 30년(1989~2018년) 평균 상승률(연간 2.97mm)보다 증가한 것으로, 해수면 상승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해역별로는 제주 부근(연 4.20mm)이 가장 높았고, 이어서 동해안(연 3.83mm), 남해안(연 2.65mm), 서해안(연 2.57mm) 순으로 나타났다.
관측지점별로 보면 울릉도가 연 5.84mm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제주, 포항, 가덕도, 거문도 순이었다.
최근 10년간의 상승률은 더욱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부터 2019까지 연안의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매년 3.68mm로 과거 30년간 평균 상승률 1.18배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