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업계 노조 “대기업 가맹점 사회적 책임 다하라” 촉구 현대차와 5개 카드사의 가맹점 계약 해지가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양측의 대립이 팽팽하게 이어지고 있다.
카드업계에선 대형 가맹점 수수료율을 인상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지만 현대차는 조정 협상을 요구하며 최후통첩을 내렸다.
◆ 현대차, ‘카드 결제 안 받는다’ 고수
8일 카드·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는 비씨카드에도 가맹점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카드수수료 인상안을 고수하고 있는 신한카드, 삼성카드 등 5개사에 대해선 지난 3일 해지 공문을 발송한 바 있다. 단 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와는 현재 일부 조율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에 앞서 현대차는 카드 수수료율 인상을 적용한다는 카드사들의 일방적 통보에 두 차례 이의제기를 했고 현행 수수료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협의하자고 요청했었다.
비씨카드의 경우 애초 지난 1일부터 적용하려던 수수료 인상을 미루고 현대차와 협상을 벌였지만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서 가맹점 해지 결과에 이르렀다.
계약 해지 결론이 도출되더라도 추후 협상의 가능성은 있지만 수수료율 인상은 수용할 수 없다는 게 현대차 입장이다.
◆ 카드업계 "대형 가맹점 수수료 불가피“
이에 대해 카드사들 역시 마진율을 일부 조정할 순 있어도 수수료 인상 자체에선 물러설 수 없다고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번 수수료율 인상은 여신전문금융업법(여전법)에 근거하는 만큼 법을 어겨가며 계약을 할 수는 없다는 게 카드업계의 입장이다. 현행 법규에선 마케팅 비용, 자금조달비용 등 적격비용에 근거해 가맹점 수수료율을 산출하게 돼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말 가맹점 수수료체계를 개편하면서 수수료율 역진성을 해소하고자 일반가맹점 적격비용에 반영되는 마케팅 비용 상한을 매출액 구간별로(30∼100억 원, 100∼500억 원, 500억 원 초과) 차등화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연 매출 500억 원 이상의 대형 가맹점은 마케팅 비용 반영률이 기존 0.55%에서 0.8%로 0.25%포인트(p) 상승했다. 결국 카드사들은 대형 가맹점 수수료율을 0.1~0.2%p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여신금융협회와 금융업계 노동조합은 지난 7일 성명서를 내고 대기업 가맹점은 카드수수료 인상안을 수용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고 발표했다.
노조는 “실제로 계약이 해지되는 사태가 벌어진다면 카드사와 대형 가맹점의 갈등이 극으로 치닫게 될 수 있다”면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된 수수료체계 개편을 충분히 이해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현대차와 5개 카드사의 가맹점 계약 해지가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양측의 대립이 팽팽하게 이어지고 있다.
카드업계에선 대형 가맹점 수수료율을 인상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지만 현대차는 조정 협상을 요구하며 최후통첩을 내렸다.
◆ 현대차, ‘카드 결제 안 받는다’ 고수
8일 카드·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는 비씨카드에도 가맹점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카드수수료 인상안을 고수하고 있는 신한카드, 삼성카드 등 5개사에 대해선 지난 3일 해지 공문을 발송한 바 있다. 단 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와는 현재 일부 조율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에 앞서 현대차는 카드 수수료율 인상을 적용한다는 카드사들의 일방적 통보에 두 차례 이의제기를 했고 현행 수수료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협의하자고 요청했었다.
비씨카드의 경우 애초 지난 1일부터 적용하려던 수수료 인상을 미루고 현대차와 협상을 벌였지만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서 가맹점 해지 결과에 이르렀다.
계약 해지 결론이 도출되더라도 추후 협상의 가능성은 있지만 수수료율 인상은 수용할 수 없다는 게 현대차 입장이다.
◆ 카드업계 \"대형 가맹점 수수료 불가피“
이에 대해 카드사들 역시 마진율을 일부 조정할 순 있어도 수수료 인상 자체에선 물러설 수 없다고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번 수수료율 인상은 여신전문금융업법(여전법)에 근거하는 만큼 법을 어겨가며 계약을 할 수는 없다는 게 카드업계의 입장이다. 현행 법규에선 마케팅 비용, 자금조달비용 등 적격비용에 근거해 가맹점 수수료율을 산출하게 돼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말 가맹점 수수료체계를 개편하면서 수수료율 역진성을 해소하고자 일반가맹점 적격비용에 반영되는 마케팅 비용 상한을 매출액 구간별로(30∼100억 원, 100∼500억 원, 500억 원 초과) 차등화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연 매출 500억 원 이상의 대형 가맹점은 마케팅 비용 반영률이 기존 0.55%에서 0.8%로 0.25%포인트(p) 상승했다. 결국 카드사들은 대형 가맹점 수수료율을 0.1~0.2%p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여신금융협회와 금융업계 노동조합은 지난 7일 성명서를 내고 대기업 가맹점은 카드수수료 인상안을 수용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고 발표했다.
노조는 “실제로 계약이 해지되는 사태가 벌어진다면 카드사와 대형 가맹점의 갈등이 극으로 치닫게 될 수 있다”면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된 수수료체계 개편을 충분히 이해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