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임 사장 시절 추진…천문학적 예산에다 실효성 논란 계속돼
![]() |
▲ 전임 사장의 무리한 사업 추진으로 논란이 됐던 수상태양광사업과 관련, 김인식 신임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이 재검토 입장을 밝혀 귀추가 주목된다. 사진은 전남 나주시 문평면 대도저수지에 설치된 수상태양광 발전단지. /에너지단열경제DB |
한국농어촌공사가 야심차게 추진하던 7조4천억원 규모의 태양광 사업이 기로에 놓였다. 공사 수장이 바뀌면서 사실상 전면 재검토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한국농어촌공사 신임 김인식 사장은 지난 4일 전남 나주 본사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최근 공사에서 핵심적으로 추진한 사업이 농업인이나 국민의 생각과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며 “공사의 경영 구조와 기존 사업에 대해 원점에서부터 다시 분석해 농어촌에 꼭 필요한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면서 경영도 내실화 할 수 있도록 기초를 다지겠다”고 말했다.
김인식 사장은 특히 “농업인, 나아가 국민의 관점에서 지원사업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사장은 이어 주요 경영 방침으로 △농어업인과 국민의 관점에서 기존 사업 재정립 △현장 중심 경영체계 구축과 사회적 가치 실현 △기초가 튼튼한 기업구조로의 개선 등을 제시했다.
이 때문에 공사 안팎에서는 김 사장이 직접적인 언급은 안했지만 전임 최규성 사장이 지난해 2월 취임과 함께 핵심사업으로 추진했던 수상태양광사업에 대한 전면 재검토가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분분한 실정이다.
최 전 사장은 2022년까지 7조4천861억원을 투입해 941개 지역에 428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 설비를 갖추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태양광사업 전담조직으로 신재생에너지사업본부를 출범시켰다.
이 중 899개 지역 2948MW규모는 공사가 보유 중인 관리 저수지 상부에 ‘수상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할 계획이었다.
현재 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전국의 저수지는 3천400여곳에 이르며 바다를 막은 방조제도 144곳이 있다.
최 전 사장은 수상 태양광 사업을 추진하면서 공사의 기반시설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사업으로 국가 에너지정책에 기여하고 낙후된 농어촌지역의 경제 활성화에 앞장선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하지만 이 사업은 천문학적 예산이 들어가는데다 실효성 논란 등 사업 계획을 발표한 시점부터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농어촌공사가 이같은 대규모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공사채를 발행이 불가피한데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지적이 팽배했다.
작년 국정감사에서도 상당수 의원들은 “사업비 7조4천861억원 가운데 거의 전부라고 할 수 있는 7조4천억원 가량을 차입하면서까지 태양광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느냐”면서 “농어촌공사가 아니라 ‘태양광공사’로 간판을 바꿔 달아야겠다”고 꼬집었다.
결국 최 전 사장이 취임 9개월만에 중도하차하면서 수상태양광사업은 동력을 잃고, 공사 안팎에서는 사업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강하게 제기됐다.
이를 의식한 듯 신임 사장은 “위기와 기회가 교차하는 이때, 현장 고객 중심의 경영체계를 구축해 농어촌의 기회를 살리겠다”며 “향후 새로운 사업을 추진할 때는 고객이 폭넓게 참여하도록 업무 시스템을 개선하고 정부 부처와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김 사장은 “청년농 육성, 기존 농업인의 경영 안정화 지원, 고령농의 소득안전망 확충 등 기존사업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하겠다”며 “농어촌의 사회적 가치가 실현되도록 힘쓰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농어촌공사 제10대 수장을 맡은 김 사장은 한국낙농육우협회 전무, 전국농민단체협의회 사무총장을 거쳐 대통령비서실 농어촌비서관, 농촌진흥청장, 경상대 교수 등을 역임했다.
김 사장은 농민단체 시절 낙농자조금 정착을 통한 농축산자조금제 기반을 마련하고 한국마사회와 축산물 가공업무의 농림부 환원 등과 같은 농어업 현안을 해결하는 데 앞장섰다.
또 1992년 ‘농업인의 날’(매년 11월 11일)을 제정하는 데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등 지역과 농어촌 발전에 필요한 전문성과 다양한 경험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