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영향이 크지 않나
화웨이를 배제하려는 미 행정부 공조 요청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독일 등 ‘반화웨이’ 진영을 이탈하려는 국가들이 속속 나오고 있어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과 정보를 가장 많이 공유하고 있는 영국에 이어 뉴질랜드 등이 트럼프 정부와는 다른 태도를 보여 나가고 있는 형국이다.
◆ 獨, ‘反화웨이 연대’에 등 돌려…“배제 계획 없다”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독일 연방 내무부 대변인 비외른 그륀벨더는 지난 19일 (현지 시간 기준) 이메일 성명을 통해 “특정 5G 이동통신 제조업체를 직접 배제하는 것은 현재 법적으로 가능하지 않고 계획하고 있지도 않다”며 화웨이 장비 퇴출 계획이 없다는 태도를 밝혔다.
이어 “신뢰할 수 없는 업체의 장비를 쓴다 하더라도 네트워크 보안이 보증될 수 있도록 필요한 보안 요건을 맞추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필요한 보안 요건을 독일 전기통신법에 추가할 것이라고 밝히며 구체적 내용은 아직 논의 중인 것으로 전했다. 다만 이러한 정부 결정과는 별개로 의회에선 반발 등이 제기될 여지가 있다고 외신에선 보도되고 있다.
위와 같은 독일의 행보는 그간 전 세계에 화웨이 보이콧 동참을 요구해온 트럼프 행정부에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 뉴질랜드 역시 불참 …화웨이 5G 장비 이용 검토
뉴질랜드 역시 화웨이 장비를 완전히 배제하지 않았다는 태도다.
현지 시각 기준 지난 18일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는 언론을 통해 “(미국과는) 독자적으로 화웨이 제품의 보안에 대해 평가한 뒤 결론을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작년 말 화웨이 제품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며 장비를 배제하겠다는 태도에서 급선회한 것. 지난해 11월 뉴질랜드 정보기관인 정부통신보안국은 중국의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이 안보에 중대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밝히면서 ‘반화웨이’ 입장을 선언했었다.
◆ 영국 “보안 위협은 제어할 수 있는 수준”
화웨이 장비를 배제하지 않겠다는 이러한 움직임에는 앞서 결정을 내린 영국 정부의 영향도 크다는 게 외신의 분석이다.
지난 17일 (현지 시각 기준)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는 정부의 소식통을 인용하면서 국가사이버보안센터는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화웨이 통신장비를 사용하더라도 보안위험을 줄일 방법이 있다고 판단했음을 보도한 바 있다.
이에 관련 전문가들은 영국의 이 같은 결정이 미국의 ‘반화웨이’ 캠페인에 결정적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영국은 미국과 정보를 공유하는 이른바 파이브 아이스(Five Eyes, 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국가이기 때문. 특히 영국은 이들 국가 중 미국과 정보를 가장 많이 공유 중이다.
그런 영국이 ‘반화웨이’ 진영을 이탈함에 따라 여타 유럽 국가들도 화웨이 장비를 사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한편 화웨이 창업자인 런정페이 회장은 미 CBS 방송과의 인터뷰를 통해 화웨이가 국가 안보에 위협을 주고 있다는 미국 정부의 지적을 부인하고 나섰다.
런 회장은 “30년간 중국 정부에 어떤 정보도 제공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영국 BBC를 통해서도 “미국은 우리를 쓰러뜨릴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