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일간 가디언은 지난해 12월 31일 자(현지시간) 기사를 통해 지난해 중국의 대표적인 인터넷 검색 금지어들을 소개하면서 “중국은 2018년 대중이 볼 수 있는 뉴스와 정보를 통제하는 캠페인을 강화했다”고 보도했다.
가디언에 따르면 중국 인터넷 당국은 사회안정에 방해가 된다고 판단될 경우 어떤 콘텐츠라도 통제를 가했다.
대표적 인터넷 검열 사례는 헌법 개정과 관련한 콘텐츠들이다.
중국은 지난해 3월 제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를 통해 국가주석직의 3년임 제한 조항을 삭제하는 쪽으로 헌법을 개정하고, 시진핑(習近平) 주석을 5년 임기의 국가주석에 재선출했다.
헌법 개정을 통해 시 주석은 마음만 먹으면 ‘종신 집권’까지 가능하게 됐으며. 일각에서는 시 주석이 ‘시황제’가 됐다는 평가까지 나왔다.
당시 중국의 검색 사이트나 SNS상에는 헌법 개정을 둘러싸고 찬반 논란이 일었다. ‘미투’(Me Too)에서 ‘후진’(back up the car)까지.
영국 일간 가디언은 지난해 12월 31일 자(현지시간) 기사를 통해 지난해 중국의 대표적인 인터넷 검색 금지어들을 소개하면서 “중국은 2018년 대중이 볼 수 있는 뉴스와 정보를 통제하는 캠페인을 강화했다”고 보도했다.
가디언에 따르면 중국 인터넷 당국은 사회안정에 방해가 된다고 판단될 경우 어떤 콘텐츠라도 통제를 가했다.
대표적 인터넷 검열 사례는 헌법 개정과 관련한 콘텐츠들이다.
중국은 지난해 3월 제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를 통해 국가주석직의 3년임 제한 조항을 삭제하는 쪽으로 헌법을 개정하고, 시진핑(習近平) 주석을 5년 임기의 국가주석에 재선출했다.
헌법 개정을 통해 시 주석은 마음만 먹으면 ‘종신 집권’까지 가능하게 됐으며. 일각에서는 시 주석이 ‘시황제’가 됐다는 평가까지 나왔다.
당시 중국의 검색 사이트나 SNS상에는 헌법 개정을 둘러싸고 찬반 논란이 일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