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 대출액, 4년 만에 줄었다"...이용자도 3년째 줄어

이가영 / 기사승인 : 2019-07-01 13:25:47
  • -
  • +
  • 인쇄

신용등급 7~10등급인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대부 이용자가 3년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신용 대출이 줄어든 반면 담보 대출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 말 기준으로 대부업 대출 잔액이 상반기 대비 1000억원 가까이 줄어들며 4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했다. 지난해 2월 법정최고금리가 연 24%로 인하된 데다 저축은행을 인수한 일부 대형 대부업자들이 대부업 규모를 축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행정안전부가 전국 등록 대부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8년 하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춢처=연합뉴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동안 대부업 대출을 이용한 사람은 221만3000명으로 상반기(236만7000명)보다 15만4000명(6.5%) 줄어들어 2015년(267만9000명) 이후 3년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나이스평가정보 기준으로 중신용(4∼6등급) 이용자 비중이 25.7%에서 27.6%로 1.9%포인트 증가했지만, 주 이용 계층인 저신용(7∼10등급) 이용자는 74.3%로 72.4%로 1.9%포인트 줄었다. 특히 아프로, 웰컴 계열사 이용자 수는 지난해 상반기 52만4000명에서 하반기 44만9000명으로 감소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인수 대부업자의 영업 축소와 영업 환경에 따른 대출 심사 강화, 정책서민금융 확대 등 영향으로 이용자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대부업 이용자 1명당 평균 대출액은 784만원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상반기(737만원)에 비해 47만원 늘었다. 대출잔액보다 이용자 수 감소폭이 더 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출 유형을 보면 신용대출이 11조7691억원으로 전체 대출잔액의 67.8%를 차지했다. 대출심사 강화 등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9467억원(7.9%) 감소했다. 반면 담보대출은 5조5796억원(32.2%)로 같은 기간 8660억원(18.4%)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대부업체들이 영업환경 변화에 따라 안정적 영업을 위해 담보대출 취급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하반기 대부업 대출잔액은 17조3487억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때 17조4470억원보다 983억원(0.6%) 감소한 것이다. 대부업 대출 잔액이 반기 기준으로 감소한 것은 2014년 하반기 이후 4년 만이다. 

 

이는 대형업자(자산 규모 100억원 이상)의 대출 잔액이 14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하반기(15조원) 대비 4000억원(2.3%) 감소한 영향이다. 특히 아프로서비스그룹 계열사(아프로파이낸셜대부 등 5개사)와 웰컴금융그룹 계열사(웰컴크레디라인대부 등 3개사)의 대출 잔액이 같은 기간 4조1000억원에서 3조8000억원으로 줄어들면서 대형업자 감소분 대부분을 차지했다. 

 

지난해 말 현재 대부업 등록업자 수는 8310개로, 같은 해 6월(8168개)보다 142개 늘었다. 금융위에 등록한 대부업자(1500개)와 지방자치단체에 등록한 대부업자(6810개)는 각각 55개(3.8%), 87개(1.3%) 증가했다.

 

금융위에 등록된 채권매입추심업체 수는 1101개로 6개월 전보다 31개(2.9%) 늘었다. 추심업자의 매입채권 잔액은 4조2783억원(원금 기준으로는 36조3000억원 어치)으로 같은 기간 20.1% 증가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회사가 연말에 회계상의 이유로 연체채권을 적극 매각했기 때문"이라며 "추심업자에 넘어간 채권 잔액이 늘어났다는 것은 그만큼 과도한 추심으로 인한 피해 가능성이 늘어났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부업자가 직장이나 거주지에서 가족이나 지인 등 제3자에게 연체사실을 고지하는 것은 불법"이라며 "대부업자와의 대화, 통화내역을 녹음하는 등 불법채권추심 관련 입증자료를 확보하며 피해구제를 받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저신용자 신용공급 상황, 시중금리 동향 등을 면밀히 살피면서 저신용 취약차주의 자금이용에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또 법정 최고금리 준수, 과도한 채권추심 여부 등 대부업자의 불건전 영업행위도 지속해서 점검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