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 플라즈마 활용 폐기물 처리하고 고순도 수소 생산 가능해진다

정두수 기자 / 기사승인 : 2022-04-12 17:15:06
  • -
  • +
  • 인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현대중공업 파워시스템 및 ㈜GS건설과‘고온플라즈마 가스화 상용로’ 개발키로

플라즈마 가스로 핵심기술 500kW급 플라즈마 토치/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이 고온 플라즈마를 활용해 폐기물을 처리하고 고순도 수소 생산이 가능한 ‘고온 플라즈마 가스화 상용로’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핵융합연구원은 ㈜현대중공업 파워시스템, ㈜GS건설과 이를 위한 업무협력 협약을 전북 군산 플라즈마 기술연구소에서 12일 체결했다.
앞으로 플라즈마 열분해 가스화 시스템의 기술개발 연구 및 설계, 플라즈마 열분해 가스화 상용로 장치 개발 및 제작, 고온 플라즈마 가스화 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사업개발 및 수행 등을 함께 하기로 했다.
플라스마는 고체·액체·기체에 이은 제4의 물질로 매우 높은 온도의 에너지 상태를 의미한다.
플라즈마 가스화 기술은 고온의 플라즈마로 폐기물 내 유기물들을 열분해해 단위 분자인 수소, 일산화탄소 등으로 쪼개어 가스화하는 기술로 대기오염물질의 발생 없는 친환경 폐기물 처리 방식이다.
배출되는 열분해 가스를 정화해 수소생산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스 터빈을 사용해 발전도 가능해 폐자원을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핵융합연은 그동안 축적된 플라즈마 가스화 기술을 바탕으로 상용로 핵심기술인 플라즈마 토치를 500kW급 대용량으로 개발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플라즈마 가스화로의 열분해 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구조개선을 이루어 현재 일 처리량 1.5톤 규모의 실험로를 운영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파워시스템은 친환경적인 폐자원 에너지 유효 이용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100톤/일 급 플라즈마 폐자원 가스화 상용로의 개발과 제작을 진행할 예정이다.
GS건설은 다수의 환경플랜트, 정유 및 석유화학 플랜트 경험을 바탕으로 플라즈마 폐자원 가스화 상용로 시스템을 이용한 발전 및 수소생산 시설 구축 기술을 개발활 계획이다.
유석재 핵융합연 원장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폐자원 처리기술은 국내에서 여러 차례 사업화 시도가 있었으나, 아직 신뢰성 있는 상용화에 이르지 못했다”며 “연구원의 축적된 기술과 대기업의 친환경 보일러 제작 기술, 플랜트 분야 건설 경험의 결합으로 신뢰성 있는 플라즈마 폐자원 가스화 상용화에 성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