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 제재한 미국에 맞서 ‘기술보복’ 가할 듯
애플 대상에 오를 가능성 고개 ‘슬며시’
![]() |
▲ 연합뉴스 제공 |
[에너지단열경제]김슬기 기자=미·중 양국 간의 기술 패권전쟁이 확전되고 있는 모양새다. 미국 행정부가 화웨이에 대한 전방위 압박을 본격화한 가운데 중국 당국 역시 ‘국가안보’를 내세워 특정 제품 구매 금지 등 맞불을 놨다.
이에 따라 애플이 ‘기술보복’ 대상이 돼 매출에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中의 반격 ‘개시’…미국산 IT 수입 심사한다
27일 외신 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인터넷 감독 기구인 국가인터넷판공실은 기관 홈페이지에 ‘인터넷안보 심사 방법’이라는 새 규제안을 공개하고 내달 24일까지 한 달간 공개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친다.
![]() |
▲ 중국 상무부 웹사이트 캡쳐 |
새 규제안은 총 21개 조항으로 중국 내 주요 IT 인프라 운용 사업자는 부품과 서비스를 구입할 때 반드시 국가안보 위험 여부를 심사받도록 하는 내용이 골자다. 국가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될 경우 관련 부품이나 서비스 구매를 금지할 수 있는 법적인 기반을 만든 것.
특히 핵심 안보위협 요소 중 ‘정치·외교·무역 등 비기술적 요인으로 인해 상품과 서비스 공급이 중단될 가능성’과 ‘외국 정부의 자금 지원이나 통제를 받는 경우’ 등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사실상 미국을 포함한 외국 제품을 겨냥한 대목으로 풀이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화웨이를 거래 제한 명단에 올린 미국에 맞서 중국이 새 규제안을 미국 IT 기업에 보복하는 수단으로 삼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양국이 서로 자국 시장서 상대국 기업을 제재하는 규제를 강화함에 따라 세계 IT 산업계가 미중 둘 가운데서 선택을 해야하는 처지가 될 수 있다고도 전했다.
◆ 애플 ‘새우 등 터지나’
이에 따라 중국이 미국 애플을 대상으로 ‘기술보복’에 나설 가능성도 고개를 들고 있다.
이날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애플에 대해 보복 조치를 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만일 이같은 조치가 이뤄진다면 중국 시장서 매해 4,300만대의 아이폰을 팔던 애플은 약 500억 달러의 매출 손실을 보게 될 것으로 분석됐다.
로드 홀 골드만삭스 분석가는 “중국에서 제품이 금지된다면 애플은 전체 수익 중 29%를 잃는다”며 “애플의 올해 1분기 매출에서 중국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7%를 넘어 102억2000만 달러(약 12조 원)에 달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애플의 생산설비 대부분이 중국에 있다는 점에 이런 조치가 결국 중국의 ‘제 살 깎기’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애플의 직접 고용인력은 140만 명, 간접 고용인력을 합치면 총 48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를 의식한 런정페이 화웨이 회장은 이날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정부가 애플에 제재를 가하면 내가 먼저 저지할 것”이라며 “제자(화웨이)가 어떻게 스승(애플)에게 반기를 들 수 있겠느냐”고 밝혔다.
◆ 중국, ‘희토류 카드’ 검토
양국 간의 기술 패권전쟁은 자원에 대한 분쟁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중국 정부가 IT산업 전반에 쓰이는 희토류의 미국 수출을 금지하는 조치를 시행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희토류는 전기·전자 산업과 국방 시스템 장비 등에 쓰이는 핵심 원재료로, 미국은 전체 희토류 사용량의 80%를 중국산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희토류는 미국과 호주 등에서도 생산할 수 있어 보복 조치를 한다 해도 단기적 타격에 그칠 수밖에 없을 것으로 관측된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