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2억 예산 확보한 ‘주택·건물 지원 등 신재생 에너지 보급 지원 사업’ 5월 9일 신청 접수

정두수 기자 / 기사승인 : 2022-04-25 15:31:37
  • -
  • +
  • 인쇄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해 보다 181억 원 증가한 3192억 원의 예산을 확보해 ‘2022년 주택·건물 지원 등 신재생 에너지 보급 지원 사업’의 신청을 5월 9일부터 받는다.
대상은 주택 또는 건물 소유주가 자가 소비를 목적으로 태양광,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다.
주택·건물지원 사업은 총 1435억 원 규모로 단독·공동주택, 상가·공장 등에 자가 소비 목적의 신재생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설치비의 일부를 지원한다.
올해부터는 전기 사용량이 많은 산업단지의 경우 신재생 설비 설치에 따르는 전력요금 절감 효과가 크다는 점을 고려해 입주기업에 대해 선정 평가 시 가점을 부여할 예정이다.
융복합지원은 1757억 원 규모로 지자체, 또는 공공기관 주도로 민·관 협력체를 구성해 지역 단위로 보급하는 설비에 대해 설치비를 지원한다.
주택·상가·공공기관 등 여러 건물에 태양광, 태양열, 지열, 연료전지 등 두 종류 이상의 신재생 에너지원을 융합해 설치해야하는 것이 전제 조건이다.
최근 지자체 차원의 신재생에너지 수요 발굴 활동이 증가하는 추세를 고려해 전년 대비 약 11%를 증액한 것이다.
융복합지원은 신청접수 다음년도에 자금이 지원되는 만큼 올해 예산은 2023년도 사업에 대한 예산이다.
올해는 지자체별 재생에너지 시설과 주거·도로 간 이격거리를 규제하는 정도를 평가점수에 반영해 재생에너지 보급에 적극적인 지자체에 더 많은 혜택이 주어지게 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올해 사업을 통해 총 309MW의 신재생에너지 설비 보급이 예상돼 연간 541억 원의 요금 절감과 연간 18만 톤의 이산화탄소 감축효과를 전망하고 있다.
한편 해당 사업을 수행하는 한국에너지공단은 태양광 설치와 관련해 정부 사업을 사칭하는 등의 사기 피해 예방을 위해 소비자피해 콜센터를 연중 운영하고 있다.
한국에너지공단 그린홈 홈페이지를 통해 보급사업 참여 시공업체에 관한 정보도 공개하고 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