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음식 소비에 맞추면 2050년 지구가 2.3개 필요
[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
한국인이 제일 좋아하는 삼겹살 요리
지구에서 모든 사람이 한국인과 같이 고기와 야채 등을 먹는다면, 2050년에는 이를 감당하기 위해 지구가 하나 이상 더 있어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 등장했다.
노르웨이 비영리 단체 EAT가 발간한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식습관' 보고서는 한국의 1인당 음식 소비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구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를 넘었으며 붉은 고기 소비량은 적정량의 3배에 가깝다고 밝혔다.
또 지구에 사는 77억 명을 위한 식량 생산은 기후변화를 불러오는 탄소배출의 4분의 1을 책임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가운데 40%는 가축사육, 음식물쓰레기, 쌀 재배, 비료사용, 농지조성, 산림벌채 등에 기인한다고 부연했다.
보고서는 주요 20개국(G20) 중 1인당 음식소비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구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 이내인 국가는 인도와 인도네시아뿐이라고 밝혔다.
지구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는 2021년부터 적용되는 신기후 체제인 파리협약의 장기목표인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섭씨 1.5도 이하로 제한하는 범위 내로 설정했다.
지구에서 모든 사람이 현행 한국인과 같은 음식 소비를 한다면 2050년에는 해당 분량의 음식을 생산하기 위해 지구가 2.3개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구에서 모든 사람이 미국이나 브라질과 같은 음식 소비를 한다면 2050년에 지구는 각각 5.6개, 5.2개가 필요하게 된다.
인도(0.8개)와 인도네시아(0.9개)만 2050년이 돼도 지구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 내 음식 소비를 하는 것으로 설명했다.
중국(1.77개)과 일본(1.86개)은 우리나라보다 지속가능한 음식 소비를 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G20 국가 중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구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 내에 있는 국가는 터키뿐이었다.
한국의 하루 붉은 고기 소비량은 80g을 넘어서 적정량인 0∼28g의 3배에 육박한다.
붉은 고기 소비량이 적정량 이내인 국가는 G20 중 인도네시아와 인도뿐이었다.
식습관보고서
보고서는 현재 음식 소비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5.6Gt으로 이중 G20 국가는 3.7Gt을 배출하고 있다며 G20국가를 중심으로 국가별 음식섭취 가이드라인을 지킨다면 이를 5.0Gt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5.0Gt는 현재보다 12% 줄어든 규모로, 이를 준수하면 파리협약 기준을 지킬 수 있다.
보고서 대표집필자 브렌트 로큰은 AFP통신에 "지금 몇몇 국가의 일부 사람들이 잘못된 방식으로 음식을 먹어 전 세계가 비용을 치르고 있다"면서 "몇몇 부유한 국가의 불균형한 음식 섭취는 기후와 건강, 경제에 손상을 초래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