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나도 ‘간편결제’…이용액 80조 원 돌파

김슬기 / 기사승인 : 2019-04-17 14:59:18
  • -
  • +
  • 인쇄
작년 말 80조1천453억 원…2년 새 3배 수준 성장
전자금융업자 결제가 1위…이베이코리아 등 겸업 PG사의 거래 증가 때문
스마트폰 간편결제/ 연합뉴스 제공

[에너지단열경제]김슬기 기자=최근 핀테크 열풍으로 사업자가 폭증하면서 ‘간편결제’가 국민의 일상에 스며든 모양새다. 생체인증이나 간단한 비밀번호를 통해 신속히 결제할 수 있는 해당 서비스는 작년 이용금액 80조 원을 넘기면서 몇 년 사이 3배나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이 내놓은 간편결제 서비스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체 결제금액은 80조1천453억 원으로 본격화되기 시작한 2016년(26조8천808억 원)과 비교해 3배 수준으로 급증했다. 간편결제란 신용카드나 계좌번호와 같은 결제 정보를 모바일기기나 PC에 미리 등록하고서 간단한 비밀번호 입력이나 지문인식만으로 상품·서비스 구매를 완료할 수 있게 만든 결제방식이다. 대표적으로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등이 있으며 작년 말 기준 은행과 카드, 전자금융업자 등 총 43개사가 50종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전자금융업자 간편결제 금액이 30조9000억 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카드사 (27조1000억 원), 삼성·엘지페이 등 단말기제조사 (20조7000억 원), 은행 (1조4000억 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전자금융업자의 간편결제 금액이 가장 높은 까닭은 자사 유통망에 기반을 둔 간편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베이코리아, 네이버, 쿠팡 등 겸업 PG사의 거래 금액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용 건수 또한 23억8000만 건으로 2년 전(8억5000만 건) 대비 2.8배 수준으로 성장했다. 전체 가입자 수(중복가입 포함)는 1억7000만 명으로 조사됐다.

결제수단은 신용카드(91.2%)가 대다수였으며 선불(4.8%), 계좌이체(3.9%), 직불(0.1%)이 그 뒤를 이었다. 작년 간편결제 신용카드 결제금액은 73조1000억 원으로, 이는 전체 신용카드 결제금액의 9.4% 수준에 해당한다.

온.오프라인 등 결제영역별로는 지난해 말 기준 오프라인에서 75.6%(60조6029억 원), 온라인에서 24.4%(19조5424억 원)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오프라인 영역에서는 10명 중 8명이 삼성페이 MST 방식(기존 신용카드 단말기를 통한 결제가 가능한 방식)을 사용했다.  

 

금감원은 금융사고나 서비스 불안정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감독 조치를 할 방침이다.

금감원 측은 “지급수단 등록절차의 취약점을 이용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보호조치 등을 적용할 것”이라며 “특히 시스템 장애 등으로 간편결제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서비스 제공 금융회사 및 전자금융업자 스스로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도록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