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남동발전이 플라스틱 제품에 석탄재 재생원료를 사용하는 기술의 상용화를 추진한다.
PE(폴리에틸렌),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배관, 생활용품 등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에 석탄재 재생원료(충진재)를 20~30% 대체하는 기술을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9월 플라스틱 제조 중소기업들과 협약을 체결해 영흥본부 회 처리장에 회 이송 배관을 설치하고 실증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플라스틱 바구니 등 생활용품 시제품을 제작하기도 했다.
남동발전은 지난 한해 발생한 석탄재를 레미콘 혼화재, 시멘트 원료 등 친환경으로 재활용해 재활용률 100%를 달성했다.
일본에서 수입되는 석탄재를 국내산으로 대체하기 위한 시멘트 원료 재활용을 74만톤 달성하기도 했다.
남동발전은 폐기물 재활용 제품 사업을 통한 고부가가치화도 추진 중이다.
국내 유일 기술인 석탄재 부유선별과 입도분리 공정을 이용해 석탄재를 산업용 충진재, 발전연료, 레미콘혼화재 등 친환경 산업소재로 제품화하는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2013년 국내최초로 석탄재 재활용 전문기업을 설립하고, 2016년 산업소재 생산설비가 준공된 이후 2020년 산업소재 생산량 21만톤을 달성했다.
남동발전은 향후 40만톤까지 생산량 증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석탄재 재활용 저변확대를 위해 건설현장 채움재, 무기단열재 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석탄재 수입 대체를 위한 대규모 재활용사업을 정부 보조금사업으로 시멘트사와 공동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